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문 대통령 "신고리 공론조사 수용"…의중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앵커멘트 】
문재인 대통령이 영구 정지된 '고리 1호기'에 이어 '월성 1호기'도 중단할 수 있다고 작심 발언을 했습니다.
그러면서 신고리 5, 6호기 중단 여부는 공론조사가 나오면 수용하겠다고 절충안을 내놨습니다.
어떤 의중이 담겨 있는 걸까요?
송주영 기자입니다.

【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국가재정전략회의 둘째 날 안건에도 없는 탈원전 문제를 작심발언했습니다.

전력 수급 계획에 이상이 없다면 월성 1호기도 중단될 수 있고, 2030년까지 몇 개 더 폐쇄할 수도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변함없이 '원전 제로시대'를 추진하겠다는 의미로, 사실 수차례 언급했던 사항입니다.

▶ 인터뷰 : 문재인 / 대통령 (지난 6월19일 고리 1호기 영구정지 선포식)
- "원전 중심의 발전정책을 폐기하고 탈핵 시대로 가겠습니다. 준비 중인 신규 원전 건설계획은 전면 백지화하겠습니다."

그렇다면, 신고리 5, 6호기 건설은 왜 당장 중단이 아니라 공론화 과정을 거치는 걸까.

신고리 5, 6호기 공사 중단은 문 대통령 대선 공약 사항이지만, 영구 정지된 고리 1호기와 다른 점이 있습니다.

고리 1호기는 이미 한계 수명이 지나 기간 연장으로 운영됐고, '노후화에 따른 위험성'이 제기돼 왔습니다.

그런데 신고리 5, 6호기는 지난해 6월 공사 승인으로 건설이 진행돼 이미 공정률이 28% 들어가 이미1조 6,000억 원이 투입된 상황입니다.

무조건 중단을 강행하기에는 부담스러운 상황에서 반대 여론도 만만치 않습니다.

▶ 스탠딩 : 송주영 / 기자
- "이런 이유로 문 대통령은 신고리 5, 6호기 건설에 한해서는 공론화위원회의 결정을 수용하겠다는 나름의 '절충 카드'를 제시한 것으로 보입니다. MBN뉴스 송주영입니다."

영상취재 : 이재기 기자
영상편집 : 최지훈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