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디젤차 리콜한 벤츠, 한국시장 대책은 안 밝혀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유럽 전역서 판매 300만대만 조치

벤츠코리아 “본사 입장 아직 없어”

독일 다임러 그룹이 배출 가스 조작 의혹을 받는 메르세데스-벤츠 브랜드 디젤 차량 300만 대에 대해 리콜을 하기로 했다. 다만 유럽 내에서 이뤄질 리콜에 대해서만 계획을 밝혔을 뿐 한국에서 판매된 차량에 대해서는 아무런 입장도 내지 않았다.

다임러는 유럽 전역에서 벤츠 디젤 차량 300만 대에 대해 ‘자발적인 서비스’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18일(현지시간) 밝혔다. 질소산화물과 같은 유해가스 배출 절감을 위해 설치된 디젤 차량 엔진 소프트웨어를 무료로 정비해주는, 대규모 리콜을 하겠다는 말이다. 대상 차종은 유로 5와 유로 6 표준이 적용된 디젤 차량으로, 2억2000만 유로(약 2800억)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다임러는 향후 구체적인 리콜 방식과 시기 등을 추가로 발표할 예정이다.

다임러가 이처럼 대대적인 리콜 계획을 밝힌 것은 최근 배출가스 조작 의혹에 대한 현지 검찰의 수사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독일 언론 등에 따르면 다임러는 인증 실험 때는 배출가스 저감장치를 작동하게 하고 실제 주행 때는 작동하지 않도록 조작 소프트웨어를 장착한 혐의를 받고 있다. 다임러는 현행법을 위반하지 않았다는 입장이지만 의혹은 잦아들지 않고 있다. 앞서 폴크스바겐의 ‘디젤게이트’ 사례로 디젤차 업체 전체에 대한 의심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다임러 측은 이번 리콜 결정에 대해 ‘자발적인 조치’라고 밝혔지만, 어쩔 수 없는 대응으로 보인다. 배출가스 조작 의혹이 점점 확산하면서 고객들의 불안이 커지고 회사 이미지 타격도 심각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디터 제체 다임러 회장은 “디젤엔진에 대한 논란이 고객들에게 불확실성을 유발하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디젤 차량 운전자들을 안심시키고 디젤 기술에 대한 신뢰를 강화하기 위해 추가적인 조치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유럽에서 리콜대상이 될 차량들과 같은 엔진을 장착한 차량들이 국내에서도 똑같이 판매됐기 때문에 국내 소비자들의 불만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벤츠 코리아 관계자는 “이번 계획은 유럽내 차량에 대한 것이며, 한국에 대해선 본사 차원에서 아직 입장이 나오지 않았다. 한국 뿐 아니라 미국 등 다른 국가에 대한 조치가 어떻게 될지는 조금 더 기다려 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같은 모델을 판매하고도 유럽에 대해서만 리콜 계획을 밝힌 것에 대해 국내 소비자들은 불만을 가질 수밖에 없다. 국내에서 높은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고 인기가 공고한 상황이라 국내 시장을 신경쓰지 않는다는 비판도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외신에서 조작이 의심된다고 지적한 엔진은 벤츠의 주력 디젤 엔진인 OM642·

OM651 등이며 국내에 판매된 벤츠 디젤 차량도 신형 E클래스와 C클래스 일부를 제외하면 대부분이 두 엔진을 탑재하고 있다. 환경부에선 두 엔진을 탑재한 벤츠 차량이 국내에 47종이 들어와 있고, 총 11만 대가 판매된 것으로 보인다고 발표했다.

윤정민 기자 yunjm@joongang.co.kr

▶SNS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포스트]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