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9 (목)

특혜 선정 후폭풍…면세점株 `출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지난 2년간 면세사업자 선정 과정에서 특혜 의혹이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국내 면세업체 주가가 출렁거렸다. 의혹에서 자유로운 호텔신라 주가가 급등한 반면 문제가 불거진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는 사업권 취소 가능성이 제기되며 52주 신저가로 내려갔다. 시장에서는 '사업권 취소'라는 최악의 단계로 치닫게 되면 면세사업 전반에 대한 투자심리가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12일 유가증권시장에서 호텔신라는 전일 대비 4100원(7.81%) 오른 5만6600원에 장을 마쳤다. 지난 1년간 호텔신라 주가가 하루에 7% 이상 오른 적은 두 번뿐이다. 이날 모건스탠리·크레디트스위스·메릴린치 등 외국계 창구를 통해 매수세가 집중됐다. 이달 들어 매도우위(-16억원)를 보였던 외국인들은 이날 하루에만 호텔신라 주식 164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호텔신라 우선주도 전날보다 8500원(20.78%) 급등한 4만9400원에 마감됐다. 이날 호텔신라의 급등은 서울 지역 면세점 특허가 부당하게 발급됐다는 감사원 발표에서 비롯됐다. 전날 감사원은 2015년 7월과 11월 1·2차 면세점 사업자 선정 과정에서 특정 업체들이 부당하게 선정됐고 지난해 3차 서울 시내 면세점 신규 특허 추가 발급(4곳) 역시 왜곡된 기초 자료에 근거했다고 밝혔다.

호텔신라 주가가 급등한 것은 특혜 의혹에서 벗어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면세점 실적은 그해 외국인 입국자 수에 달렸다. 하지만 금융투자업계에서는 면세점 사업장 하나가 정상 가동된 이후 연간 매출을 최소 5000억원 이상으로 추산하고 있다. 경쟁자가 사라지면 이만큼 새로운 시장이 생길 수 있어 호텔신라의 잠재적 실적 개선이 예상되는 대목이다.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외국계 증권사의 호평도 주가에 호재로 작용했다. 이날 JP모건은 1년 이상 유지했던 호텔신라에 대한 투자의견 '중립'을 '비중 확대'로 높였다. 김윤아 JP모건 연구원은 "2015년부터 세 차례에 걸친 면세 사업권 발급으로 경쟁 심화를 우려했으나 면세 사업 초기의 낮은 수익성과 중국인 관광객 급감은 신규 경쟁 업체들에 고통이 되고 있다"며 "사업 규모가 작은 경쟁 업체들은 신규 매장 오픈을 지연하거나 사업을 포기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해 두산 면세점은 영업에서 300억원 규모의 손실을 봤다. 한화갤러리아 면세점은 지난 1분기에만 적자 127억원을 냈다. 신세계도 전날보다 0.85% 상승하면서 마감했다. 장중 한때 4% 가까이 올랐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서울 시내 면세시장이 신세계·호텔신라·롯데 등 기존 면세 사업자를 중심으로 재편될 것이란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는 주가가 3.38% 하락했다. 면세 사업 실적이 기대치를 크게 밑돌고 있는 데다 심사 과정에서 특혜 의혹까지 불거지면서 주가는 52주 신저가인 3만원까지 떨어졌다.

2차 면세사업자 선정 과정에서 피해 기업으로 꼽히는 롯데쇼핑은 3차 사업자 선정 취소 우려에 전일 대비 5500원(1.84%) 하락한 29만3000원을 기록했다. 두산은 두타면세점 비중이 낮아 주가가 0.41% 하락하는 데 그쳤다.

문제는 3차 신규 면세 사업권까지 취소될 경우다. 1·2차 선정에서는 심사 과정의 적정성이 문제가 됐지만 3차에선 사업권 발급 자체가 논란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면세업계 관계자는 "서울 시내 면세 사업자를 추가로 선정한 것 자체가 15년 만인데, 불과 1년 만에 추가 신규 사업자 4곳을 선정한 것은 비합리적"이라며 "1차에서는 한화, 2차에서는 두산이, 3차에서는 사업권 전체가 취소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지난해 12월 신규 사업권을 받은 4곳은 롯데 월드타워점,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 신세계DF(강남), 탑시티 등이다.

3차 신규 사업권이 통째로 취소되면 투자심리에도 부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한 증권사 유통 담당 연구원은 "지난해 사업권을 받은 업체들은 이미 용지 확보와 인력 충원 단계에 들어선 상태라 사업권을 박탈당하면 대형 악재가 될 수 있다"며 "허가제에 발급된 사업권까지 취소되면 규제 산업이라는 인식이 강해져 전반적으로 투자심리가 위축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용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