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쌀 농사보다 '전기 농사' 수익이 19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태양광 패널 논에다 설치해 전력 생산

가천대 홍준희 교수, 세미나에서 주장

쌀 수익 연간 2900원,발전 5만5845원

일본에선 농사와 발전 병행 프로젝트도

"신재생에너지 20% 목표 달성 위해선

농지 10%에 태양광발전 도입 필요"

중앙일보

27일 오전 경기도 안성시 금광저수지에 설치된 '수상 회전식 태양광 발전소'가 오랜 가뭄으로 맨땅에 내려앉아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논에 벼를 심어 쌀농사를 하는 것보다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해 얻은 전력을 판매하는 '전기 농사'를 할 경우 20배 가까운 이익을 거둘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발전부문에서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20%로 끌어올리겠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도 달성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중앙일보

28일 오후 서울 중구 서소문로 환경재단 레이첼카슨홀에서 열린 에너지전환 시대에 풀어야 할 과제들 제2차 세미나 '재생에너지 확대 현실화 어떻게 할 수 있나'에서 차문환 한화솔라파워 대표(왼쪽)가 발언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가천대 에너지IT학과 홍준희 교수는 지난 28일 오후 서울 중구 환경재단 레이철 카슨 홀에서 환경운동연합 주최로 열린 '재생에너지 확대 현실화' 세미나에서 주제 발표를 통해 "쌀농사는 3.3㎡(1평)에서 얻는 소출이 1.8㎏이고, 연간 매출액이 2900원 수준이지만 논에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하면 연간 매출액이 5만 5845원으로 19.3배에 이른다"고 주장했다.

중앙일보

28일 오후 서울 중구 환경재단 레이첼카슨홀에서 열린 세미나에서 홍준희 가천대 에너지IT학과 교수(오른쪽)가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3.3㎡당 0.25㎾짜리 시설을 설치하고, 매일 3.6시간씩 1년 365일 전기를 생산한다면 연간 328.5㎾h의 전력을 얻게 된다.

㎾당 170원씩으로 계산하면 3.3㎡에서 1년에 5만 5845원을 벌 수 있다는 계산이다.

홍 교수는 "일본에서도 현재 논에서 태양광 발전을 하도록 허용하는 '솔라 쉐어링(Solar Sharing)'이란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며 "태양광 패널을 논 위에 듬성듬성 설치할 경우 쌀 소출은 20% 줄어들지만, 전력 생산 덕분에 농민들의 소득은 전체적으로 16배로 늘었다"고 설명했다.

중앙일보

샤프가 후요종합리스와 공동 투자로 일본 미야자키현 시치카슈쿠쵸에 지난달 착공한 대규모 태양광발전소의 개요도. [사진 샤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농지를 태양광 시설로 전용하고 농사를 중단하는 것 막기 위해 정부나 지자체에서 3년 단위로 현장을 점검하고, 농사를 제대로 짓지 않으면 발전시설 허가를 취소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홍 교수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의 발전 비중 20%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50GW(기가 와트, 1GW=1000㎿) 규모의 태양광 설치가 필요하다"며 "농촌 주택 지붕에 태양광 패널을 얹는 정도로는 안 되고 전북 새만금이나 충남 서천 등 가뭄이 잦은 지역이나 염분이 많은 지역 논을 중심으로 농경지에 발전 시설을 설치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전국 농경지의 5%면 50GW의 태양광 시설 설치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쌀 과잉 생산 문제도 해결할 수도 있다는 설명이다.

별다른 토목 공사 없이 태양광 패널을 손쉽게 해체할 수 있어 국제적인 식량 위기 때에는 말뚝을 빼내고 물을 대면 곧바로 농사를 지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서 이지언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국장은 "갈수록 심각해지는 대기오염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를 금전적으로 지원하는 '발전차액지원' 제도를 부활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중앙일보

정부가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폐쇄 등 친환경 에너지 정책을 속속 발표해 태양열, 조력, 풍력 같은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0일 서울 시내 한 아파트에서 태양광발전설비 업체가 베란다에 태양광 모듈을 설치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발전차액지원 제도는 화력·원자력 발전에 비해 전력 생산비용이 높은 신재생에너지에 대해 정부가 지원해주는 제도다. 신재생에너지 발전으로 공급한 전기의 전력거래 가격이 기준가격보다 낮으면 정부가 나서서 기준가격과 전력거래 가격의 차액을 지원해 준다.

발전차액제도는 2011년 폐지된 바 있다.

이 국장은 "발전차액지원 제도를 재도입하면 연간 약 3600억원의 비용이 들어갈 것으로 추정된다"며 기존의 전력산업기반기금을 충분히 활용하기 때문에 예산에 부담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전기사용자 전기요금에서 3.7%를 떼는 전력산업기반기금의 여유 자금이 올 연말에는 4조3000억원에 이를 전망이기 때문이 이 자금을 활용하면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한화솔라파워 차문환 대표는 이날 토론회에서 "앞으로 3~4년 뒤에는 국내 태양광 발전이 그리드 패러티(grid parity, 계통 등액)에 도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리드 패러티는 신재생에너지 발전단가와 기존 화석에너지 발전 단가가 같아지는 균형점을 말한다.

강찬수 환경전문기자 kang.chansu@joongang.co.kr

고침
가천대 홍준희 교수는 '재생에너지 확대 현실화' 세미나에서 현장에서는 "쌀농사는 3.3㎡(1평)에서 얻는 소출이 1㎏이고, 연간 매출액이 1000원 수준이지만 논에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하면 연간 매출액이 5만5845원으로 55배에 이른다"고 발표했습니다. 발표 내용이 기사화된 이후, 홍 교수는 수정된 데이터를 보내왔으며, 이 기사는 수정된 데이터를 반영했습니다.



강찬수 기자 kang.chansu@joongang.co.kr

▶SNS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포스트]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