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1 (화)

항암신약, 재정독성 문제 해법 모색…"합리적 약가 책정 필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종=뉴시스】이인준 기자 = 재정독성(Financial Toxicity) 문제가 암 환자와 가족은 물론 사회적인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재정독성은 고가의 항암신약이 야기하는 개인·사회의 재정 문제를 항암제의 물리적 독성에 빗댄 것을 말한다.

28일 보건복지부 암정복추진기획단과 국립암센터가 서울대 암연구소 이건희홀에서 개최한 '제62회 암정복포럼'에서는 '고가 항암신약의 재정독성 해결방안'을 주제로 정책 제언을 모색했다.

최근 글로벌 제약사에서 개발된 다양한 표적항암제가 환자의 생존율이 크게 기여하며 환자와 가족에게 희망을 안겨주고 있다.

반면 고가의 항암신약은 암 환자와 가족의 가계에 영향을 미칠뿐 아니라 건강보험 재정에도 큰 부담을 주고 있다. 특히 제약사에서 암환자·가족이 겪는 두려움과 걱정을 이용해 약값을 고가로 책정한다는 비난과 원성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문가들은 항암신약에 대해 합리적인 약가 책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항암제 청구액은 1조 390억으로 전체 약품비의 6.8% 수준에 불과하다.

하지만 전체 약제 기준 약품비 증가율이 2011~2016년 최근 5년간 3.1%인 데 비해 항암제 약품ㅂ은 6.7%로 2배 수준으로 가파르다. 특히 2014년 이후 증가폭이 커지는 상황이다.

특히 암환자의 1인당 항암제 연간 투약 비용도 2010~2011년 210만원에서 2015~2016년 280만원으로 약 33% 증가했다.

항암제에 대한 사회적인 비용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 중 하나는 '항암신약'이 비싸기 때문이다.

신규 등재 항암제 월간투약비용(1개월) 2014년 316만8795원, 2015년 334만1292원, 2016년 737만2112원으로 지난해 급증하고 있다. 이는 "신규 등재되는 항암제 가격이 고가화되고 있는 추세"라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실제로 제약사에서도 항암제 개발에 힘을 모으고 있다. 일반 신약의 경우 2008년 이후 지속적으로 심의 품목이 감소하고 있으나, 항암제의 경우는 늘어나고 있다. 신약개발이 항암제에 집중되고 있다는 것이다.

제약사 등에서는 항암신약이 비싼 이유에 대해 연구개발(R&D) 지출 비중이 높다는 점을 거론한다.

하지만 투명성의 결여, 높은 실패율에 대한 비용을 감안하면 과다하다는 평가가 많다. 오히려 제약산업이 지속적으로 두자릿수의 높은 이익율을 올리고 있는 것는 주주이익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탓이라고 보는 지적도 있다. 일부 기업의 경우 이미 마케팅 지출이 R&D지출을 초과해 이같은 근거에 벗어난 상태다.

오히려 사회적 부작용은 더 심해지고 있다.

해외에서 진행된 한 연구에서 고가 항암제의 잇따른 출시로 개인파산 2.65배 늘고, 1개 신약항암제가 비용기준으로 전체 건강관리의 18%를 사용해야 하는 수준까지 높아졌다.

암정복추진기획단 김흥태 단장은 "항암제 비용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며 세계경제가 항암제 비용
을 지불할 수 없게 되는 것은 시간문제일뿐"이라며 "제약계가 항암제 가격을 낮추고, 정부는 비용효과 분석 후 저비용-고가치 치료에 우선 지불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제네릭·바이오시밀러 약품의 신속승인도 대안으로 제기됐다. 제네릭은 오리지날 약품에 비해 80~85% 저렴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는 적정수가를 기반으로 적정부담-적정급여 체계로 전환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다만 항암 신약의 적정급여를 정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있다.

항암신약이 완치보다 생명연장의 수단이라는 점에서, 환자의 생존에 얼마나 기여하는가와 환자에게 추가적인 부작용, 고통을 줄 수 있다는 양면을 모두 감안해야 한다는 것이다.

ijoinon@newsis.com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