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8 (토)

꾸준한 산림관리만이 '산불 예방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기고]

조선일보

이우균 한국기후변화학회장(고려대 환경생태공학과 교수)


산불이 지구촌을 위협하고 있다. 지난 5월 강원 강릉과 삼척에서 큰 산불이 발생했다. 지난 2013년 이후 4년 만에 발생한 '대형 산불'(피해 면적 100㏊ 이상)이다. 외국은 더 심각하다. 올 2월 칠레에서는 산불로 11명이 사망하고, 1610채 가옥이 피해를 입었다. 캐나다에서도 산불로 인해 8만8000명 주민이 도시를 떠나야 했다. 최근 포르투갈에서 발생한 재난성 산불은 무려 사망자 64명을 낳았다.

기후변화와 산불은 하나의 고리처럼 연결되어 있다. 기후변화는 산불을 유발하고, 산불이 발생하면 나무 안에 저장된 온실가스가 대기 중으로 배출되어 기후변화를 더욱 가속화시킨다. 악순환의 반복이다.

그래서 지난 2015년 전 세계 산불 분야 전문가들이 모인 '제6차 세계산불총회'에서는 '산불통합관리체계(IFM)'가 논의됐다. 산불통합관리체계란, 산림 분야 전문성에 기반하여 '산불의 예방~진화~복구'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관리 기법을 말한다. 산불 예방과 복구 업무는 평상시 산림 관리의 하나인데 이게 진화 업무와도 한 몸이 되어야 한다는 얘기다.

최근 포르투갈 재난성 산불에서도 같은 교훈을 얻을 수 있다. 이번 포르투갈 산불 주요 문제점은 첫째, 산불 예방과 산불 진화 조직 간 공조 부족, 둘째, 산불을 고려하지 않은 산림 정책, 셋째, 숲 관리 소홀로 인한 연료 축적 등으로 꼽힌다. 포르투갈은 2007년 시민보호국 신설과 함께 산불 진화를 담당하게 되면서 산림 관리와 산불 관리를 분리시킨 나라다. 그 결과, 산불에 취약한 유칼립투스를 수익성이 높다는 이유로 주거지 인근에 대규모로 심었고, 숲 가꾸기를 소홀히 한 결과 연료가 쌓여 산불 피해를 가중시켰다.

우리나라 산불은 확산이 빠른 산악형 산불로 신속한 초동 진화가 핵심이다. 평상시 산림을 관리하는 직원들이 필요하고 개별 산림 특성에 따라 산불 양상이 다르고, 산불 진화 방식 또한 다르게 전개되어야 한다. 산불 관리는 산림 관리다.





[이우균 한국기후변화학회장(고려대 환경생태공학과 교수)]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