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주민들 “공론화는 정부 여론몰이” 환경단체 “공약 이행 환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원전 공사 중단에 찬반 엇갈려

정부가 신고리 5, 6호기 공사를 일시 중단하고 공론화 작업을 하겠다는 입장을 밝히자 찬반 양론이 뜨겁다. 2013년 신고리 5, 6호기를 자율 유치한 신고리원전 5, 6호기 건설 중단 반대 범군민대책위원회 등은 “건설 중단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반발하고 있지만 환경단체 등에서 “건설 중단은 당연한 일”이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상배(66) 울산시 울주군 서생면 주민자치위원회 고문은 “그동안 국가 전력 수급에 동참한다는 의미로 지역주민들이 자신의 땅값 하락 등 재산권 행사에 제한을 받으면서도 신고리원전 5, 6호기를 유치했는데 이제 와 중단한다는 것은 지역주민들을 두 번 죽이는 것”이라며 반발했다. 그는 “신고리 5, 6호기에 대기업과 하청업체 등 수많은 사람이 들어와 일하고 있고 이들이 지역주민이 운영하는 식당과 숙박시설 등을 이용하고 있는데 공사가 중단되면 일자리도 잃고 주민들도 생계에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이상대(65) 신고리 원전 5, 6호기 건설 중단 반대 범군민대책위 위원장은 “도대체 무슨 법을 근거로 공사 중인 5, 6호기 공사를 중단하고 공론화 작업을 하겠다는 것인지 이해할 수 없다. 공론화가 아니라 정부가 여론몰이하는 것으로밖에 볼 수 없는 만큼 즉각 공사를 계속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울산시의회도 지난 19일 고용과 지방세수 감소 등이 우려된다며 ‘신고리 5, 6호기 건설 중단 반대결의안’을 채택했다.

140만kW급의 신고리 5, 6호기는 8조6000여억원이 투입돼 각각 2021년과 2022년 완공 목표로 공사 중이며 현재 투자금액 대비 28.8%의 공정을 보인다. 공사가 영구 중단될 경우 이미 집행한 공사비와 보상비용까지 2조6000여억원의 비용이 매몰될 전망이다.

반면 환경단체 등에서는 환영하는 입장이다. 울산 지역 40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김형근(53) 탈핵울산공동행동집행위원장은 “우리 쪽에서는 원전 백지화가 목표이지만 사회적 합의를 위해 공론화 과정을 거치기로 한 만큼 지금부터라도 독일 등 다른 선진국처럼 투명하고 공정하게 논의가 진행돼 정의로운 결과가 나오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최수영 부산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한시적이긴 하지만 신고리 5, 6호기 건설 중단을 발표한 것은 공약 이행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말했다.

울산=위성욱 기자 we@joongang.co.kr

위성욱 기자 we.sungwook@joongang.co.kr

▶SNS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포스트]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