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아름다운 소녀만이 미적 영감을 주는 건 아니죠...네덜란드 사진작가 어윈 올라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고전회화 영향받아 영화처럼 연출한 사진으로 명성

통념의 허를 찌르고 고정관념 뒤흔드는 요소도

서울 삼청동 공근혜갤러리에서 7월 23일까지 개인전

중앙일보

'최신 유행' 시리즈 가운데 인물사진. Le Dernier Cri_Double Portrait_2006 ⓒErwin Olaf 사진제공=공근혜갤러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여기 아름다운 두 여성의 기괴한 얼굴을 담은 아름다운 사진 하나가 있다. 기괴한 얼굴이 된 건 이마와 뺨과 턱에 뭔가 이물질을, 그것도 우스울만큼 노골적 형태로 넣었기 때문. 이는 네덜란드 사진작가 어윈 올라프(58)의 작품 '최신유행'(2006)이다. 함께 선보이는 같은 제목의 영상작품은 두 여성이 모던하게 꾸며진 집에서 나누는 대화를 통해 이같은 얼굴 변형이 유행중임을 알려준다. 그 배경이 자막에는 '2019년 파리'라고 나오지만 요즘 세태를 겨냥한 것임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올라프는 이를 "비판만 아니라 유머"라고 말했다. 그를 국내 세번째 개인전이 열리고 있는 서울 삼청동 공근혜갤러리에서 만났다. 이번 전시는 '휴먼&네이처'란 제목으로 그의 작품 15점을 선보이는 중이다.

중앙일보

사진작가 어윈 올라프는 네덜란드 출신으로 국제적 명성을 쌓아왔다. 사진=이후남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저는 아름다움을 좋아합니다. 동시에 다양한 개인을 좋아합니다. 큰 사람, 작은 사람…모두 아름다움이 있고 영감을 주죠. 아름다운 여성만 영감을 주는 건 아닙니다. 더 추한 사람이 더 아름다울 수 있죠. 아름다운 사진은 요즘 인스타그램, 페이스북에 전세계에서 매일 수만 장이 올라와요. 예술을 하려면 아름다운 소녀만 찍을 수는 없죠. 예술창작은 아름다움 이상의 것이 있어야죠. 아름답고, 화려하고, 성공적이고…그건 인생의 목적도, 예술의 목적도 아니라고 생각해요." 그는 "내게 사진은 피부와 감정에 대한 것"이라고도 말했다.

중앙일보

2013년 패션잡지 보그에 실린 사진. 17세기 네덜란드 화가 베르메르의 '진주 귀고리의 소녀'가 연상되는 분위기다. 사진제공=공근혜갤러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는 마치 고전회화나 고전영화의 분위기로 특정 시대와 공간과 인물을 정교하게 연출한 사진, 이를 통해 미묘한 감정을 극적이고 섬세하게 담아낸 사진, 때로는 성·인종·나이 등 각각에 대한 통념의 빈 틈을 자극하는 사진으로 국제적 명성을 쌓아왔다. 광고와 패션사진도 유명하다. 이번 내한과 개인전은 그의 작품을 비롯해 패션잡지 보그에 실렸던 흡사 명화 같은 사진을 전시하는 '보그 라이크 어 페인팅' 전(서울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과 때를 맞췄다 양쪽 전시에 모두 선보인 2013년 네덜란드 보그 사진은 베르메르의 '진주 귀고리의 소녀' 를 재해석한 분위기다.

중앙일보

'최신 유행(Le Dernier Cri, 2006)' 시리즈 가운데 한 점. ⓒErwin Olaf 사진제공=공근혜갤러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신 유행' 시리즈에 포함된 정물 사진도 이런 맥락으로 설명했다. 영상에 등장한 여성의 집에 있는 꽃병 등의 정물이다. "집에 있는 물건은 그 사람에 대해 더 많은 걸 전해주죠. 또 저는 꽃을 좋아해요. 꽃은 회화와 사진의 고전적 테마죠. 아다시피 저는 유럽 회화, 특히 네덜란드 황금시기의 회화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어요." 이번 개인전에 선보인 또다른 사진은 17세기 바니타스 정물화를 닮았다. 실은 액세서리 광고 사진이다.

중앙일보

2008년 무이 액세서리 광고를 위해 찍은 사진이다. 사진제공=공근혜갤러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는 의뢰받아 찍는 사진, 그 중 패션사진은 창작활동과 충돌하기보다 서로 영감을 준다고 했다. "'최신 유행'은 온전히 패션사진에서 영감을 얻었어요. 2006년 뉴욕타임즈 매거진의 제안으로 파리에서 오트 쿠튀르 사진을 찍으면서 구상했죠." 그는 작품 시리즈마다 영상도 함께 선보이곤 한다. "더 큰 얘기를, 더 큰 감정을 담아낼 수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2년 뒤 개봉을 목표로 첫 장편영화도 준비중이다. 전설적 바람둥이 카사노바가 사랑한 여성, 이후 천연두로 흉해진 얼굴을 가리자 온갖 남성이 그에게 끌렸던 여성 얘기다. 그는 "결점이, 불완전함이 매력이 된 강한 여성의 이야기"라며 원작 소설을 바탕으로 5년전부터 시나리오 작업을 하다 최근 제작비를 투자 받은 소식을 전했다. 영화 얘기가 나오자 그는 아침 신문에서 읽은 '옥자' 리뷰에 더해 넷플릭스 드라마 '센스 8'에서 본 한국 여배우, 즉 배두나에 대한 호감까지 다양한 화제를 쏟아냈다.

중앙일보

서울 삼청동 공근혜갤러리 사무실에서 포즈를 취한 사진작가 어윈 올라프. 사진=이후남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로케이션 시리즈, 즉 특정 도시에서 영감을 받아 현지에서 찍는 사진작업도 진행해왔다. 지난해 국내 개인전에도 선보인 '베를린'(2012)시리즈가 그 시작이다. 얼마 전에는 중국에서 상하이 시리즈를 찍었다. 프랑스 기업가들이 싱가포르에 만든 재단의 후원을 받아 진행한 프로젝트다. 1930~40년대 분위기로 찍었다고 한다. "세계적으로 예술에서, 정치에서 흥미로운 시기였죠. 경제적인 이유로 가족을 떠난 사람들의 얘기를 비롯, 큰 감정을 담아냈어요."

혹 한국에서 이런 시리즈를 찍는다면 어떤 시대를 찍고 싶을까. "지금은 말하기 곤란하네요. 역사를 공부해야 하니까. 일제강점기가 중요한 역사라는 건 알지만 그 직후가 더 흥미로울 수도 있고." 그는 로케이션 시리즈에 대해 "그 시대의 신문을 읽고, 역사를 연구하고, 사람들을 알아야 하는 작업"이라고 말했다.

우연히도 그는 한국 현대사의 뜨거운 장면 중 하나를 목격했다. 지난번 방한은 마침 광화문 촛불시위가 한창인 때였다. "민주주의를 위한 시위로 알고 있어요. 평화로운 분위기에 가족들도 많더군요. 그 때는 제 남자친구와 함께 왔었는데 우리도 하루 나가 둘러봤죠. 지난해에 비하면 지금은 사람들이 좀 더 행복하고 여유로워 보이네요." 이번 개인전은 7월 23일까지.

중앙일보

국내 세번째 개인전 등을 위해 한국을 찾은 사진작가 어윈 올라프. 사진=이후남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후남 기자 hoonam@joongang.co.kr

이후남 기자 hoonam@joongang.co.kr

▶SNS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포스트]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