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정치권, 6.25발발 67주년 맞아 "철저한 국가안보 구축" 한목소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다만 野는 정부의 오락가락 안보정책 지적

여야는 6·25 전쟁 발발 67주년인 25일 논평을 내고 '굳건한 한미동맹 유지', '이념을 초월한 국가안보 및 한반도 평화 구축'을 한 목소리로 강조했다. 다만 야권은 새 정부의 오락가락 안보 정책의 미비점을 지적하면서 일관된 대북 정책 수립 등을 촉구했다.

더불어민주당 백혜련 대변인은 논평에서 "국가안보와 한반도 평화를 위한 길에 여야나 진보, 보수가 있을 수 없다"며 "한반도 상황을 정치적·정략적으로 이용해 갈등을 유발하는 행위는 한반도 평화구축에 전혀 도움이 안 되는 것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북한이 보여주고 있는 행태는 스스로 고립과 파멸을 자초하고 있다"며 "북한은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 등 도발을 즉각 중단하고,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대화에 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제윤경 원내대변인도 별도 논평에서 "안보는 국가의 평화구축을 위한 자주적 움직임"이라며 "진영논리 없는 자주적 안보를 구축하자"고 밝혔다.

그러면서 "민주당은 튼튼한 안보가 국민을 위한 제1의 민생이라는 점을 다시 되새긴다"며 "국회 또한 정쟁을 넘어 국가보훈처 위상 강화 등 국회가 할 수 있는 민생 안보에 앞장서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자유한국당은 선열의 희생을 기리면서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해 한미동맹을 굳건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준길 대변인은 서면논평을 "정부는 햇볕정책을 계승한다는 정체불명의 '달빛정책'을 내세우고 있다"며 "문재인 대통령이 앞장서서 북핵과 미사일을 '뻥'이라고 하면서 사드배치를 미루려 하고, 미 국방부가 반박성명을 내는 등 한미 간 '엇박자'가 나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어 "한국전쟁의 역사적 교훈을 결코 잊어서는 안 된다"며 "굳건한 한미동맹 위에 대한민국 안보를 더 튼튼하게 구축하는 것만이 자유민주주의 대한민국과 국민의 행복을 지키는 유일한 길"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국민의당 손금주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우왕좌왕하는 대북메시지와 사드배치 문제에 대한 정부의 발언은 대북관계와 외교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대한민국이 또 다른 위기를 맞이하지 않도록 명확하고 일관된 대북정책을 보여달라"고 촉구했다.

또 북한에 대해서는 도발 중단을 요구한 뒤 "핵실험과 탄도미사일 발사 등을 통한 도발을 멈추고, 신뢰의 관계가 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바른정당 오신환 대변인은 서면논평에서 "북한은 휴전 이후에도 청와대 무장공비 기습, 천안함 폭침 등으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앗아갔고 근래에는 핵실험 및 대륙간탄도미사일 도발로 안보를 위태롭게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다시는 동족상잔의 비극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 대한민국이 강력한 군사력과 투철한 안보의식으로 무장돼야 한다"며 "바른정당은 6·25 참전용사들의 숭고한 희생을 기억하고 이들을 대우하는 데 각별히 신경쓰겠다"고 약속했다.

정의당 추혜선 대변인은 서면 논평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떤 상황에서도 다시는 6·25와 같은 비극이 발생하지 않는 영속적인 평화체제를 구축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또 문 대통령이 평창 동계올림픽의 남북단일팀을 제안한 것과 관련해 "역대 국제경기에서 출전한 남북단일팀들은 언제나 혼연일체된 모습으로 남북 국민 모두에게 큰 감동을 줬다"며 "반드시 성사돼 해빙을 이뤄내는 거대한 불길로 피어오르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haeneni@fnnews.com 정인홍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