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해 밀양 송전탑 철거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부·울·경 탈핵단체, 전국 1329명 SNS 설문조사 결과 발표

응답자 77% “문재인 정부, 송전탑 문제 잘 해결할 것으로 기대”



경남 밀양 송전탑 문제 해결을 위해 문재인 정부가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신고리원전 5·6호기 건설을 중단하고 밀양 송전탑을 철거하는 것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부산·울산·경남 탈핵공동행동은 13일 밀양 송전탑 행정대집행 3년을 맞아 지난 1~8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전국 132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송전탑 문제 해결을 위해 문재인 정부가 먼저 해야 할 일’(복수응답 허용)로 가장 많은 922명(69%·)이 ‘노후 원전 폐쇄 및 신고리 5·6호기 중단으로 밀양 송전탑 철거’를 꼽았다. 이어 709명(53%)이 ‘진상조사와 책임자 처벌, 공식 사과’, 281명(21%)이 ‘전원개발촉진법 등 에너지 악법 개정’, 147명(11%)이 ‘주민 재산·건강 피해 실태조사’를 들었다.

‘문재인 정부가 밀양 송전탑 문제를 제대로 해결할 것으로 기대하는지’를 묻자 22%가 ‘잘 해결할 것’, 55%가 ‘완전하진 않지만, 상당한 진전이 있을 것’ 등 77%가 낙관적 기대를 나타냈다. ‘기대하지 않는다’거나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는 부정적 반응은 20%에 그쳤다. ‘밀양 송전탑 투쟁이 어떤 기억으로 남아있냐’는 물음에는 61%가 ‘시골 어르신들에게 자행한 끔찍한 국가폭력’을 꼽았고, 23%는 ‘후쿠시마 사태 이후 탈핵 운동을 대중화한 계기’라고 답했다. ‘밀양 송전탑 투쟁이 한국사회의 에너지 분야에 기여한 점’에 대해선 ‘대용량 발전과 장거리 송전의 모순 폭로’(47%), ‘대규모 국책사업에 가려진 마을공동체 파괴의 실상 폭로’(39%), ‘이후 발전소와 초고압 송전선로 건설 입지 제약과 개선’(10%) 순으로 답했다.

한국전력은 울산 울주군 신고리원전 3·4호기에서 경남 창녕군 북경남변전소까지 송전탑 161개를 세우고 송전선로를 설치하는 ‘765㎸ 신고리~북경남 송전선로 건설사업’을 2008년 8월 착공해, 2014년 말 완공했다. 밀양주민들은 2005년 12월부터 송전탑 반대투쟁을 벌였고, 2014년 6월11일 이를 진압하는 행정대집행 과정에서 2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고 381명이 입건됐다. 150여가구 주민들은 여전히 한전 보상금 수령을 거부한 채 송전탑 반대투쟁을 벌이고 있다.

탈핵울산공동행동은 “12년간 이어지고 있는 밀양 송전탑 문제는 신고리 3호기에서 생산한 전기를 765㎸ 세계 최고압 형태로 수도권에 보내는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로, 신고리 3·4호기는 물론 5·6호기 건설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밝혔다. 탈핵울산공동행동은 밀양 송전탑 반대농성장 행정대집행 이후 주민들의 삶을 들어보는 ‘밀양 이야기 콘서트’를 연다. 콘서트는 14일 저녁 7시 울산 중구 성남동 67 소극장 ‘품’에서 ‘밀양이 내게로 왔다’라는 제목으로 밀양주민 4명이 직접 참가한 가운데 밀양과 울산 시민이 서로 화답하는 형식의 이야기와 공연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010-2570-3356.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

▶ 한겨레 절친이 되어 주세요! [신문구독] [주주신청]
[▶ 페이스북] [카카오톡] [위코노미] [정치BAR]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