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탐색] 탈핵 이행 vs 건설…찬반 나뉜 신고리 5·6호기 운명은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8일 전국 80여 개 단체가 참가한 '핵없는 사회를 위한 공동행동'이 서울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정부에 탈핵약속 실현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이날 선언에는 노동·교육·법조·협동조합·시민단체·정당·종교·학계 등에서 활동하는 3600명이 참가했다. 환경운동연합 제공


문재인 대통령의 탈핵 정책에 따라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인 신고리 5·6호기를 두고 찬반갈등이 일고 있다.

울산시 울주군 서생면 신암리 일원에 건설 중인 신고리 5, 6호기의 공정률은 28% 수준이다. 5호기는 터파기 공사를 마치고 지하 매설 배관 설치 중이고, 6호기는 터파기 공사를 하고 있다. 5호기는 2021년, 6호기는 2022년 각각 완공될 예정이다.

총 사업비 8조6000억원 중에 현재까지 1조5000억원이 투입됐다.

울산에서는 연일 원전 건설을 백지화해야 한다는 쪽과 그대로 건설을 진행해야 한다는 기자회견, 집회 등이 열리고 있다.

원전이 들어설 서생면 주민 등으로 구성된 신고리 5·6호기 건설 백지화 반대 범군민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는 천막농성에 나섰다. 지난 9일부터 서생면 원전사거리 앞에 천막 2개를 설치하고 신리마을 등 주민들이 참여하는 농성을 이어갈 계획이다. 대책위는 “서생 주민들은 40년 가까이 원전 주변에 살면서 각종 피해를 감수하며 신고리 5, 6호기를 자율유치했다”며 “정부는 대규모 국책사업 중단을 검토하면서도 주민을 납득시킬만한 이유도 이주 대책에 대해서도 해답을 주지 않고 일방적으로 백지화하려 한다”고 주장했다.

세계일보

7일 오후 부산 기장군 고리원자력본부 홍보관 앞에서 한국YWCA연합회가 마련한 탈핵 문화제에서 전국 YWCA 회원들이 신고리 5·6호기 건설의 백지화를 촉구하는 퍼포먼스를 펼치고 있다. 연합


이들은 상경투쟁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오는 15일 800여명이 청와대 인근 청운파출소 앞에서 집회를 열고 원전 건설 지속을 촉구할 계획이다.

반면 탈핵을 주장하는 시민단체들은 원전 건설 중단을 요구하는 운동을 벌이고 있다.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은“대선 당시 문재인 후보가 내걸었던 탈핵공약은 대선을 거치면서 이미 검증받고 선택받았다”며 “이제 단호하고 거침없이 공약을 이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 단체는 신고리 5·6호기 건설 지속을 국정기획자문위원회에 요청한 김기현 시장과 지역 정치권에 대해서도 쓴소리를 했다. 탈핵울산행동은 “그동안 여러 여론조사를 통해 울산시민 60~70%가 신고리 5·6호기 건설을 반대한다는 결과를 보냈지만 이를 묵살하고 있다”며 “지역 경제 운운하며 재앙의 근원인 핵발전소를 계속 짓자는 것은 직무유기”라고 밝혔다.

신고리 5·6호기 건설이 중단될 경우 매몰비용은 이미 집행된 1조5000억원과 계약해지 비용 1조원 등 총 2조5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한국수력원자력은 추산하고 있다.

울산=이보람 기자 boram@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