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부산시, '탈원전' 선언…'클린에너지 부산' 추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병수 부산시장, '핵연료세 도입+신고리 5, 6호기 건설 중단' 요구]

머니투데이

부산시가 정부에 핵연료세 도입과 신고리 5, 6호기 건설 중단을 공식 요구했다.

서병수 부산시장은 5일 오후 시청에서 기자 회견을 하고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대선 때 제시한 고리 원전 5·6호기 건설 중단 공약을 적극적으로 환영한다"며 "국내 첫 상업 원전인 고리1호기 영구 폐로를 계기로 '클린에너지 부산' 강력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 시장은 "문 대통령이 공약으로 탈원전 기조 속에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을 공약한 만큼 부산시는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이 탈핵으로 가는 큰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하며 이를 적극적으로 환영한다"고 말했다.

부산시가 건설 중인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에 대해 공식 입장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어서 앞으로 신고리 5·6호기 추진 향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아울러 부산시는 고리 1호기 폐로 이후 원전해체 산업이 새로운 시장으로 열리는 만큼 부산을 원전해체 산업의 거점으로 지정해 줄 것과 원전 소재 지자체로써 갖는 특수한 부담과 지역발전 저해 요인 등을 고려해 지방세인 '핵연료세' 신설을 제안했다.

이어 탈원전에 대한 책임 있는 정책 대안으로 서병수 시장이 올해 초 '클린에너지 부산'을 선언한 이후 부산시의 에너지정책 전환 추진상황과 계획에 대해 밝혔다.

우선, 클린에너지 정책의 전문성과 효율적 정책 추진을 위해 지난 3월 클린에너지 정책관(3급) 직제를 신설한 데 이어 다음 달 1일 임용과 함께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할 예정이다. 또 클린에너지 정책을 뒷받침할 민·관 협의체 기구로 ‘에너지정책위원회’를 신설해 내달 중 정식 출범하기 위해 준비를 서두르고 있다.

클린에너지 도시 실현을 위한 구체적 사업은 △해양에너지 연구개발(R&D) 기반시설 조성 △ 혁신도시 에너지 스마트시티 조성(마이크로 그리드 사업) △도시재생사업 분야 클린에너지 보급 △에너지산업 클러스터 조성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