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저커버그가 주장한 기본소득, OECD가 시뮬레이션 해보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OECD '정책 묘약으로서의 기본소득' 보고서 발간

프랑스ㆍ이탈리아 등 4개국 기본소득 시뮬레이션

사회보장 혜택 받던 사람은 잃고, 중산층은 더 얻어

현 제도에 불평등 요소 많으면 빈곤율 하락 효과

#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25일(현지시간) 하버드대 졸업식 축사에서 기본소득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누구나 새로운 아이디어를 시도할 수 있도록 완충 장치(cushion)를 만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보편적 기본소득(Universal Basic Income) 같은 아이디어를 연구해야 한다.”

저커버그는 페이스북 프로젝트가 실패하더라도 안전망이 있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에 실패에 대한 두려움 없이, 자신감을 갖고 창업을 추진할 수 있었다고 고백했다. 생계를 돕느라 컴퓨터 코딩을 배울 기회를 갖지 못하는 아이들에게 기본소득이 ‘쿠션’이 되어줄 수 있다는 의미다. 저커버그의 축사는 기본소득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 올해 1월부터 핀란드에서는 기본소득 실험이 진행 중이다. 핀란드 사회보장국은 25~58세 실업 급여 대상자 가운데 2000명을 무작위로 선정해 월 560유로(약 70만원)씩 기본소득을 지급하고 있다. 본인 의사와 향후 다른 소득 발생 여부를 따지지 않는다. 핀란드 정부는 2019년 기본소득 제도를 전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기본소득이 실업률을 하락시키는지 여부 등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이다. 과거 미국 알래스카주나 캐나다 온타리오주같이 한정된 지역에서 실시됐던 사례와 달리 국가 정책으로 채택한 것은 핀란드가 세계 처음이다.

기본소득 논의가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일부 학자들에 의해 제한적으로 논의되던 기본소득 아젠다가 최근 유명인사와 싱크탱크 등에 의해 여론의 중심으로 들어왔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지난 25일 ‘정책 묘약으로서의 기본소득’ 보고서를 발표하고 기본소득이 정책으로서 지니는 의미를 분석했다.

OECD 일자리ㆍ소득부문 연구팀은 프랑스ㆍ이탈리아ㆍ영국ㆍ핀란드 4개국을 대상으로 기본소득을 도입할 경우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모든 국민에 동일한 기본소득을 배분하는 경우 선진국에서는 빈곤층을 줄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기본소득이 생활을 안정시킬 정도가 되려면 세제 개편이 따라야 하며, 이 때 모든 계층의 세금 부담이 훨씬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소득은 가족 유무, 노동 여부, 소득이나 자산 수준에 관계없이 국가가 국민에게 일정 금액을 지급하는 제도다. 조건을 따지지 않고 누구에게나 제공하기 때문에 보편적 기본소득이라고도 한다. 기존의 사회보장제도에서 제공하는 각종 수당과 혜택을 기본소득으로 대체하는 구상이다.

OECD는 기본소득 시뮬레이션의 전제 조건으로 ^예산 증액이 없는 선에서 ^은퇴 연령 이전의 성인 및 어린이를 대상으로 지급하고 ^기존의 복지 혜택은 모두 삭감하고(주택보조금과 현물 지원은 유지) ^기본소득에도 과세하는 것으로 설정했다. 이런 시나리오에서 1인당 기본소득 지급액은 빈곤선(빈곤을 면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금액)을 밑돌았다. 예컨대, 시뮬레이션 결과 프랑스 성인은 기본소득으로 월 456유로(약 57만원)를 받게 되는데, 프랑스 성인 1인당 빈곤선은 이보다 훨씬 높은 월 909유로(약 114만원)다.

따라서 현재 복지 혜택을 받고 있는 저소득 가정은 기본소득제도가 실시되면 형편이 더 나빠졌다. 특히,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조기 은퇴자(55~64세)와 실업자는 현행 사회보장제도에서 받는 혜택보다 손해를 봤다.

핀란드ㆍ프랑스ㆍ영국에서는 빈곤율이 증가했다. 이탈리아는 빈곤율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현재 복지혜택이 고소득층보다 빈곤층에게 불리하게 짜여져 있기 때문이다. OECD는 “이탈리아의 사회보장제도는 소득 하위 20%보다 상위 20%의 부자들에 더 큰 혜택이 돌아가는 구조여서 이 나라에는 기본소득이 도입되며 재분배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블룸버그는 “사회보장제도가 불평등한 나라에서는 기본소득이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기본소득의 승자는 중산층이었다. 프랑스ㆍ핀란드ㆍ영국에서는 현재 아무런 복지 혜택을 누리지 못하는 중간 소득 가정들이 가장 큰 수혜를 입었다. 보고서는 “최저보장 소득 수준만큼 기본소득을 주려면 증세를 필요로 하며, 국민 대다수의 세금 부담이 올라가고 국내총생산(GDP) 대비 세금의 비율도 높아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근 기본소득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배경은 현재의 사회안전망과 복지제도만으로는 급변하는 경제 상황에 대비하기 어렵다는 공감대가 확산하기 때문이다. 호주 의회 사회정책국의 돈 아서 연구원은 “급속한 기술발전과 고용 형태의 변화에 따라 일자리가 줄고, 부와 소득의 불평등은 갈수록 심화되며, 세계 경제의 저성장 기조 또한 장기화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최소한의 안정을 위해 기본소득 도입이 필요하다는 주장과 막대한 재정 부담과 근로 의욕 상실 등의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동시에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박현영 기자 hypark@joongang.co.kr

박현영 기자 park.hyunyoung@joongang.co.kr

▶SNS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포스트]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