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1 (수)

[허니文 한국경제]④소득·소비는 정체…'文 효과' 속단 이르다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5월 가계 경제심리, 소득·소비 심리지수는 정체

"기대감에 실물경제 못 따라가면 실망감 커질듯"

이데일리

[이데일리 김정남 기자] “국내 경제의 소비 증가세는 여전히 미흡합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최근 우리 경제의 성장세 확대를 공개적으로 언급하면서, 동시에 했던 말이다. 기업의 수출과 투자는 예상보다 더 좋아지고 있지만 가계의 소비는 “아직”이라는 것이다.

한은이 내놓은 이번달 소비자동향지수(CSI)에서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기대감만 발견할 수 있는 건 아니다. 2030 젊은층을 중심으로 정권 교체의 열망이 경기 회복 기대로 이어지는 흐름은 분명하다. 다만 또 한편으로는 소득이 증가하고 소비를 늘릴지는 다소 머뭇거리는 측면도 파악된다.

27일 한은에 따르면 이번달 20~30대(40세 미만)의 가계수입전망 CSI는 104로 전월(101) 대비 3포인트 증가하는데 그쳤다. 지난 3월(105)보다는 오히려 더 낮다. 취업기회전망 CSI와 향후경기전망 CSI가 급등한 것과는 사뭇 다르다.

젊은층 뿐만 아니다. 40대의 이 수치는 104로 한 달 새 2포인트 올랐다. 50대, 60대, 70대도 각각 2포인트, 5포인트, 4포인트 정도만 올랐다.

봉급생활자(102→104)와 자영업자(94→99) 역시 아직 수입에 대한 기대는 크지 않은 모습이었다. 소득별로도 마찬가지다. 월 300만원대 수입인 가구의 경우 가계수입전망 CSI가 오히려 101에서 100으로 하락했다.

이번달 임금수준전망 CSI도 각 세대별로 4~9포인트가량 올랐다. 고용과 관련한 기대 지표에 비해 그 상승 폭이 훨씬 작다.

소비지출전망CSI는 더 부진했다. 20~30대의 이번달 수치는 111로 전월(114) 대비 3포인트 하락했다. 현재와 비교해 6개월 후 소비를 더 줄이겠다는 얘기다. 지난해 12월(110)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40대(108)와 50대(104)의 경우 전월과 같았고, 60대와 70대가 그나마 각각 5포인트 2포인트 상승했다.

소득수준별로 나눠도 결과는 비슷했다. 월 100만원 이하(89→92) 저소득층은 그나마 3포인트 증가했지만, 그 이상은 더 주춤했다. 월 200만원대(105→103)의 소비 전망은 하락했고, 월 300만원대(110→110)와 월 400만원대(109→109)는 같은 수준이었다. 성별, 직업 등으로 분류해 조사해도 상황은 다르지 않았다.

박성우 한은 통계조사팀장은 “막상 소비를 하려면 돈이 어느 정도 있어야 하는데, 그건 조심스러운 부분이 있는 것 같다”면서 “소비지출 쪽은 경기전망보다 다소 후행해서 지표에 반영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는 문재인정부가 내세운 ‘소득 주도 성장론’의 최대 과제이기도 하다.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미국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주가 등 기대 지표는 많이 올랐지만, 실물경기는 생각보다 미진했다”면서 “추후 기대감이 뚝 떨어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경제계 한 인사는 “문재인정부를 향한 기대감이 커지는 만큼 실망감도 커지는 ‘역(逆) 기저효과’ 충격 가능성도 아예 배제할 수 없다”면서 “시간을 두고 냉정하게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