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9 (일)

공석 언제까지…어수선한 금융기관·협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부처 조각 작업이 지연되면서 암묵적으로 각 부처와의 교감 아래 채워졌던 금융기관과 협회 주요 보직이 장기간 공석으로 남겨져 업무 공백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금융 정책·감독당국인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도 새로운 수장이 임명되면 수뇌부의 연쇄 이동이 점쳐진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임기(3년)가 내년 3월까지고, 진웅섭 금감원장은 임기(3년)가 올해 11월까지지만 새 정부 출범 이후 인사 쇄신 차원에서 모두 교체가 유력하게 점쳐진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정책·감독 당국의 수장이 바뀔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새로운 업무를 추진하기가 쉽지 않고 일손이 잘 잡히지 않는 상황"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수협은행은 이원태 전 행장이 지난 4월 퇴임한 이후 두 달 가까이 새 행장을 맞이하지 못하고 있다. 수협은행 주주인 수협중앙회 관계자는 "관련 부처인 해양수산부 장관, 금융위원회 위원장 결정이 늦어지면서 새 행장 선임과 관련한 교감이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행장 자리가 상당 기간 비어 있을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고 전망했다. 2000년 당시 정부로부터 1조1581억원에 달하는 공적자금을 수혈받은 뒤 1대 장병구 전 행장을 제외하고는 관료 출신 행장들이 수협은행을 이끌어 왔다. 수협은행 주주인 수협중앙회는 이번만큼은 내부 출신 인사 혹은 금융 전문가를 행장으로 앉혀야 한다는 입장을 유지하면서 정부 측 사외이사와 마찰을 빚어 새 행장 선임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조각이 이뤄지더라도 수협중앙회와 정부 측 사외이사 간 힘겨루기가 지속될 경우 새 행장 선임이 어려움을 겪으면서 신규 사업 일정에 차질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암울한 진단도 나온다.

지난해 12월 수협중앙회로부터 독립 출범한 수협은행은 신규 사업 확장이 시급하다. 이 때문에 수협은행은 행장 공석 상태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우려 속에 현재 정만화 수협중앙회 상무가 맡고 있는 행장 대행 체제 대신 권재철 수석부행장을 임시 행장으로 선임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SGI서울보증 역시 3개월째 사장석이 비어 있다. 지난 3월 최종구 전 사장이 수출입은행 행장으로 자리를 옮겼지만 사장 추천을 위한 임원추천위원회도 구성하지 못한 상태다. 서울보증은 전임 사장 6명 중 4명이 기획재정부 등 관료 출신이다. 서울보증은 외환위기 당시 11조9000억원의 공적자금을 수혈받았다. 예금보험공사가 지분 94%를 보유하고 있어 정부 입김이 강하다.

여신금융협회와 저축은행중앙회의 2인자 자리도 몇 달째 공석이다. 전임자가 임기 만료로 퇴임한 뒤 저축은행중앙회 전무, 여신금융협회 전무 자리가 각각 지난 4월 말부터 공석이지만 정부 조각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이유로 채워지지 않고 있다. 주요 금융협회는 세월호 참사 이후 정관을 변경해 관료 몫의 부회장 자리를 없애는 대신 민간 출신 인사 선임을 위해 전무 자리를 신설했다. 하지만 여전히 협회 전무들은 모두 금융당국 몫으로 분류되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연내에 임기가 만료되는 금융기관장과 협회장 자리를 누가 차지할지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김재천 주택금융공사 사장 임기는 올해 10월까지다. 주택금융공사는 은행권과 금융감독당국인 금감원, 공무원 출신 등이 거쳐갔다. 5대인 김 사장은 한은 출신이지만 부사장을 지낸 뒤 사장으로 내부 승진한 사례다.

주요 협회 회장들도 올해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다. 장남식 손해보험협회장은 8월, 하영구 은행연합회장은 11월, 이수창 생명보험협회장은 12월에 각각 임기가 끝난다. 이들 협회장 자리는 전통적으로 관료와 정치인 출신들이 꿰찼던 낙하산 자리였지만 세월호 참사 이후 '관피아 낙하산' 척결 바람이 불면서 2014년 선임된 민간 출신 회장들이다. 금융기관 관계자는 "정책·감독 당국과의 소통 창구가 될 수 있고 외풍을 막아준다는 면에서 관피아 낙하산이 나쁜 것만은 아니지만 기관의 전문성이 저하될 수 있고 해당 업권의 이익을 대변한다는 본래 역할을 못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김종훈 기자 / 노승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