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문희상 특사의 성과와 숙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일보

문재인 대통령의 특사로 일본을 방문했던 더불어민주당 문희상 의원(가운데)이 20일 오후 김포공항을 통해 귀국하고 있다. 왼쪽은 더불어민주당 윤호중 의원, 오른쪽은 더불어민주당 원혜영 의원.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3박4일간 일정을 마치고 20일 귀국한 문희상 일본 특사는 최대 현안인 위안부 한일 합의에 대해 “재협상이라기보다는 미래지향적으로 슬기롭게 극복하자는 데 의견합의를 봤다”고 밝혔다. 합의를 그대로 두는 것도 아니고 파기나 재협상도 아닌, 모호한 수위로 일단 현안관리에 나서겠다는 뜻으로 해석됐다. 그러나 문 특사가 논란이 될 언급을 피하면서도 한일 합의를 수용할 수 없다는 우리 국민의 뜻을 분명히 전한 것은 성과로 평가된다. 현재의 상태로는 한국내 여론을 잠재울 수 없으니 사실상 일본 정부의 추가적 조치가 필요하다는 점을 인지시키고 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일본의 완강한 입장이 바뀐 것은 아니다. 하지만 문 특사를 대하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나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외무장관 역시 한일합의 이행을 언급하면서도 ‘위안부’란 표현을 의도적으로 사용하지 않았다. 조심스럽게 태도가 달라진 것이다. 이런 가운데 문 특사가 강조한 ‘제3의 길’이 주목되고 있다. 이는 결국 합의는 그대로 두되, 한국내 합의반대 여론을 감안한 후속조치로 합의를 보완하는 한편, 일본이 한국에 요구하는 서울 일본대사관 및 부산 총영사관앞 소녀상 이전문제를 원만히 처리하자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고 ‘최종적 합의’를 강조해온 일본이 한국내 여론을 감안해 보완조치에 나설지 는 장담하기 어렵다. 한국도 정권교체에 들뜬 현재의 우호적 분위기와 달리 정부가 소녀상 관리에 대안적 조치로 나설 경우 여론이 어떻게 반응할지 알 수 없다. 결국 이 문제는 7월 G20회의 등을 통해 두 정상이 직접 만나는 과정을 거쳐야만 양국내 여론과 함께 가닥이 잡힐 것이란 전망이다.

도쿄=박석원 특파원 spark@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