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2 (수)

한국 대표적 수종, 신갈나무 첫 잎 빨라졌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립공원관리공단, 월출산에서 매해 관찰

올해 개엽, 2011년보다 8일이나 앞당겨져

지구온난화 …강진 4월 평균 기온 2.5도 상승

신갈나무 잎·도토리 먹는 동물들에 영향 우려

중앙일보

잎이 나기 시작할 무렵의 신갈나무. [사진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내 산림의 대표적 수종인 신갈나무에서 봄에 첫 잎이 나오는 시기가 점점 빨라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문가들은 지구온난화로 기온이 꾸준히 상승한 까닭으로 판단하고 생태계에 미칠 영향에 주목하고 있다.

30일 국립공원관리공단에 따르면 전남 월출산국립공원의 해발 480m 신갈나무 군락에서 지난 26일 첫 잎이 나온 것이 확인됐다. 6년 전인 2011년엔 개엽(開葉·잎이 나옴)이 확인된 날이 5월 4일이었다. 이에 비해 개엽이 8일이나 앞당겨진 것이다.

이번 개엽은 지난해(4월 24일)보다는 이틀 늦었으나 연이어 개엽이 예년보다 당겨졌다는 점에서 전문가들은 심각하게 보고 있다. 국립공원연구원 김윤영 책임연구원은 "신갈나무는 우리나라 산림을 대표하는 활엽수다. 신갈나무의 개엽 시기 변화는 잎이나 꽃·열매(도토리)를 먹이로 하는 나비·다람쥐·멧돼지 등 다양한 생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중앙일보

봄을 맞아 새로 잎이 난 월출산 신갈나무. [사진 국립공원관리공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개엽이 빨라지는 것은 기온 상승 때문이다. 김 연구원은 “신갈나무 개엽은 4월 평균기온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월출산과 가까운 전남 강진의 기온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강진의 연평균기온은 2011년 13.1도에서 지난해 14.4도로 5년간 1.3도 상승했다. 4월 평균기온은 이보다 상승 폭이 더 커 2011년 11.1도에서 지난해 14.2도로 3.1도나 높아졌다. 올해도 지난 29일까지 4월 평균기온이 13.6도도 지난해보다는 낮지만 2011년보다 2.5도 높다.

중앙일보

개엽이 완료된 신갈나무 [사진 국립공원관리공단]


신갈나무 개엽이 당겨지는 것은 월출산뿐이 아니다. 지리산 성삼재에서도 2013년 5월 11일에서 지난해에는 4월 30일로 3년 사이에 11일이 빨라졌다. 해발 1000m 고지대인 성삼재의 신갈나무 개엽이 월출산 해발 480m보다 늦은 것은 고도 차이 때문이다. 저지대와 해발 1000m 고지대 사이에 20~25일 정도 차이가 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신갈나무는 흔히 '도토리나무'로 불리는 참나무과에 속한다. 높이 30m까지 자라는 활엽수다. 참나무과에는 신갈나무 외에도 졸참나무·갈참나무·굴참나무·상수리나무·떡갈나무 등이 있다.

봄에 새로 나온 신갈나무 잎은 나비·나방 애벌레 먹이로 이용된다. 애벌레는 새들의 먹이가 된다. 신갈나무 등 식물의 주기와 동물들의 생태적 주기가 엇박자가 날 경우 동물의 번식과 생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꽃가루를 옮겨주는 벌·나비가 활동을 시작하기도 전에 식물의 꽃이 피어 져버린다면 수정이 이뤄지지 않아 종자가 맺히지 않을 수도 있다.

나공주 국립공원연구원장은 "다양한 생물 종에 대한 관찰을 강화해 신갈나무 개엽 시기 변화 등 기후변화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지속해서 파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강찬수 환경전문기자 kang.chansu@joongang.co.kr

강찬수 기자 kang.chansu@joongang.co.kr

▶SNS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포스트]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