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금융위 "케이·카카오 이어 인터넷전문은행 추가 인가 추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호 케이뱅크 출범초기 '성공' 평가…고객 24만명·수신 2천900억원 유치

"메기 역할 충실…금융시장 전반에 경쟁 촉진"

연합뉴스

케이뱅크, 가입자 20만명 돌파
(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지난 3일 출범한 케이뱅크가 영업을 시작한 지 2주 만에 가입자 수가 20만명을 넘어섰다고 18일 밝혔다. 또 수신액은 2천300억원, 여신액은 1천300억원을 넘어섰다. 사진은 이날 서울 광화문의 한 광고판의 케이뱅크 광고. 2017.4.18 pdj6635@yna.co.kr



(서울=연합뉴스) 박초롱 기자 = 금융위원회가 케이뱅크·카카오뱅크에 이어 2단계로 인터넷전문은행 인가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케이뱅크가 출범 초기부터 금융시장의 경쟁을 촉진하는 '메기'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다고 보고, 또 다른 플레이어를 시장에 진입시킨다는 계획이다.

금융위원회는 27일 인터넷은행법의 국회 통과 등 제도적 정비가 완료된 후 시장 상황을 보아가며 추가 인가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금융위가 추가 인가 계획을 내놓은 것은 '1호 인터넷은행' 케이뱅크의 초기 성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달 초 문을 연 케이뱅크에는 24일간 총 24만명의 고객이 유입됐다.

출범 8일 만에 지난 1년간 은행권 전체의 비대면 계좌개설 건수(15만5천건)를 넘어서는 계좌개설 실적을 기록하기도 했다.

케이뱅크의 고객은 30∼40대가 70%를 차지해 시중은행(45%)보다 고객층이 젊다.

고객 5명 중 2명은 은행이 문을 닫는 시간인 오후 6시에서 다음날 오전 9시 사이 케이뱅크 계좌를 열었다. 수신(42%)·여신(40%)도 은행 업무시간이 아닐 때 이뤄졌다.

지난 26일 현재 케이뱅크에는 예·적금으로 2천848억원이 들어왔다.

올해 연간 수신 목표가 5천억원인데, 한 달도 안 되는 기간에 50%를 채운 셈이다.

연 2% 이자를 주는 정기예금인 '코드K'와 요구불예금 '듀얼K'가 수신 증가세를 이끌고 있다.

대출은 1천865억원 나갔다.

직장인 신용대출이 전체 여신의 72%를 차지하며, 중금리대출은 15% 규모다.

대출자의 평균 신용등급은 4.4등급, 평균 대출금리는 연 7.0%였다.

금융위는 케이뱅크 출범 이후 은행뿐 아니라 저축은행·증권사·P2P업계 등 금융시장 전반에 걸쳐 경쟁이 촉진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일단 은행권이 연 2%대 금리의 예·적금 특판상품 판매에 나서고, 서비스 선점을 위해 모바일 채널을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등 신속히 대응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일부 은행은 케이뱅크의 간편 소액대출에 대응해 마이너스통장 한도의 10%(최대 200만원)까지 금리를 면제해주기도 했다.

전·월세 대출, 주택담보대출, 자동차구입대출 등 모바일 서비스도 앞다퉈 출시 중이다.

저축은행들은 중금리대출 시장 점유율을 잃지 않기 위해 대출금리 낮추기에 나섰다. 한 저축은행은 모바일 앱을 통해 20분 만에 최저 연 5.99% 금리로 대출받을 수 있는 상품을 출시했다.

금융위는 "향후 인터넷전문은행의 업무 범위가 확대되면 보험·카드사 등 다른 업권까지 경쟁 압력이 확산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금융위는 일단 올해 6월 말 문을 여는 카카오뱅크의 출범을 차질 없이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IT기업이 인터넷전문은행 경영을 주도할 수 있도록 은산분리를 완화해주는 내용의 인터넷은행법통과를 위해 국회를 설득하겠다고 밝혔다.

chopark@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