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지더라도 약속 깰 수 없다"…安, 인위적 단일화 거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대선 D-13 / '단일화 동상이몽' 安의 선택 ◆

19대 대통령 선거를 14일 앞두고 중도·보수 후보 단일화가 선거판 마지막 변수로 떠올랐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의 최근 지지율 정체가 그 이유다. 안 후보에게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를 붙일지, 또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까지 얹을지가 관건이다. 홍·유 후보의 양자 보수 단일화 시나리오도 있지만, 대선판 뒤집기용은 아니다. '반(反)문재인' 중도·보수 연대의 키를 쥐고 있는 안 후보는 본인의 자강론을 지켜나가겠다는 의지가 확고하다. 혹여나 마음이 동해도 한 발짝 움직일 수 없다는 표현이 적합하다. 보수와 진보, 영남과 호남의 정치공학적 표 계산을 떠나 "국민만 바라보고 정치하겠다"며 인위적 단일화를 거부했던 그의 정치적 지향에 금이 가기 때문이다.

안 후보 최측근인 한 캠프 인사는 25일 매일경제와 통화하면서 "중도·보수 단일화 이슈는 진보와 보수 양쪽에서 가운데 있는 안 후보를 고사시키기 위한 전략적 프레임"이라며 "안 후보는 지금껏 밝힌 것처럼 인위적 단일화와 선거 전 연대를 전혀 생각하고 있지 않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설사 선거에서 지더라도 국민께 한 약속을 어길 수는 없지 않냐"며 "안 후보가 5%대 지지율에서 30%까지 치고 올라온 것처럼 새 정치를 원하는 국민이 결국 알아주실 것"이라고 말했다.

안 후보 선거대책위원회의 손금주 수석대변인도 이날 브리핑에서 "정치인에 의한 인위적 연대는 거부한다"면서 "오직 국민에 의한 연대만 가능하다. 저희는 국민의 선택을 받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여기서 '국민에 의한 연대'란 유권자들이 선거에서 특정 후보에게 표를 몰아줘 사실상 단일화 효과가 나오게 됨을 의미한다. 안 후보 측은 선거 전에는 단일화 내지 연대론에 확실히 선을 긋고, 대선 후에는 좌우 정치 세력과 협치를 통해 정국을 운영하겠다는 전략이다.

박지원 국민의당 대표는 바른정당의 '안·홍·유 3자 원샷 단일화' 제안에 대해 "제안하더라도 논의하지 않겠다"고 일축하면서도 "안철수 후보가 대통령이 돼도 당내에서 총리가 나오지 않을 것"이라며 집권 후 연정 가능성은 활짝 열어뒀다. 국민의당이 집권 여당이 되더라도 국무총리 자리를 포기하면서 '통합내각론'을 대안으로 내세운 셈이다.

여기에는 안 후보 집권 시 국민의당이 '빅3 중도 집권 여당'으로서의 세를 확보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깔려 있다. 안 후보가 자강론을 통해 대통령에 당선될 경우, 갈 곳을 잃은 바른정당을 품고, 민주당 내 반문세력과 한국당 내 개혁세력을 흡수한다는 시나리오다.

[전범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