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첫 공개된 대선후보 방송연설…文·洪·安의 메시지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the300]文 '경험과 가치' 洪 '안보와 경제' 安 '미래 약속'…劉·沈은 방송연설 신청 안해]

머니투데이

(왼쪽부터)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선후보,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 /사진=국회사진취재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약 20분에 최소 1억원 이상, 제19대 대통령선거 후보들이 TV연설을 하기 위해 지불한 비용이다. 비싼 비용 탓에 주요 대선후보들 중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만 TV연설을 신청했다.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와 심상정 정의당 후보의 TV연설은 볼 수 없다. 비싼 값을 치른 만큼 후보들의 연설은 정제된 형태로 전달됐다. 지난 22일과 24일에 걸쳐 첫 방영된 문재인·홍준표·안철수 후보의 TV연설 속 메시지를 분석했다.

머니투데이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지난 24일 오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서울역사문화벨트조성공약 기획위원회', '광화문대통령공약 기획위원회' 출범 기자회견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이동훈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험과 가치' 강조한 문재인='대선 재수생' 문 후보는 연설 초입부터 4년 전 대선 패배를 언급하며 "저의 부족함이 컸다"고 반성했다. 이어 "단단해질 수 있었고, 더 많이 고심하며 준비했다"고 밝혔다.

문 후보는 지난 겨울 촛불집회에 함께한 경험을 내세웠다. 그는 "전국 각지에서 촛불을 들었던 '이게 나라냐'라는 함성을 잊지 않고 있다"며 "이번 대선의 '시대정신'은 '나라를 나라답게' 만드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문 후보는 "'준비된 대통령'이 되겠다"며 참여정부, 당대표 경험을 근거로 들면서 "더 잘할 수 있는 자신감도 생겼다"고 말했다. '공정한·국민 통합' 대통령이 될 것을 약속하면서도 경험한 바를 자신이 추구하는 가치로 반영해 전달했다.

자신을 향한 안보 공격에 대해서도 그는 "제 아버지는 공산주의가 싫어서 피난오신 분"이라며 "저도 특전사로 군복무를 당당히 해 튼튼한 안보가 있어야 평화가 열릴 수 있다는 걸 체득했다"고 경험을 강조했다.

머니투데이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선후보가 지난 21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토론회에서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김창현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안보와 경제' 최우선 홍준표=주로 전통시장을 다니며 "서민의 목소리를 들었다"고 밝힌 홍 후보는 "(서민들에게) 가장 많이 듣는 말씀이 안보와 경제"라고 설명했다.

특히 홍 후보는 문 후보와 안 후보의 태도·공약 등을 비판하면서 동시에 자신의 성과와 공약을 부각했다. 그는 "사드배치를 상반기 내에 완료하겠다"면서 "이에 대해 문 후보와 안 후보는 계속 말을 바꾸고 있다"고 비판했다.

경제 문제와 관련해 홍 후보는 상대 후보들이 증세를 하겠다고 한 점을 꼬집으며 자신이 경남지사 시절 "행정개혁과 재정개혁만으로 빚을 다 갚아 재정여유로 서민복지를 확대했다"고 설명했다.

홍 후보는 연설 말미에서도 "문 후보와 안 후보는 자신의 정체성조차 대답하지 못하면서 표만 달라고 한다"고 비판하며 "저는 당당한 보수우파 후보"라고 강조해 차별화를 시도했다.

머니투데이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가 지난 24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 YWCA 연합회 강당에서 열린 제19대 대통령 후보 초청 성평등 정책 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래 약속' 부각한 안철수=안 후보는 "이번 대선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선택하는 선거"라고 정의하며 '만들겠다, 하겠다'로 끝나는 다수의 미래지향형 문장으로 연설을 채웠다.

먼저 안 후보는 5대절벽(△수출절벽 △내수절벽 △일자리절벽 △인구절벽 △외교절벽) 위기와 4차산업혁명의 도래를 언급하며 "이를 새로운 기회로 바꾸겠다. 대한민국을세계 최고의 혁신국가로 만들어낼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안 후보는 교육혁명, 공정한 사회, 대탕평시대 실현을 약속했다. 또 정치·재벌·검찰 개혁 등을 당선 즉시 시작하겠다고 호언했다. 아울러 개헌 논의에 돌입하고 "국민참여를 보장할 직접민주주의의 요소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다른 후보와 달리 안 후보는 대선 투표일 다음 날인 5월10일을 수차례 언급했다. 그는 "5월10일, 새로운 대한민국이 시작될 것"이라며 "더 좋은 정권교체를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건희 기자 kunheelee@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