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동상이몽' 후보단일화…반등노리는 洪·딜레마 빠진 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the300]바른정당, 당 존립기반 위기감 ↑…후보와 이견은 여전]

머니투데이

임종철 디자이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동상이몽’이다. ‘5‧9 대선’을 두주 앞둔 시점 ‘중도 보수 후보 단일화’가 떠올랐다. ‘단일화’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투표용지가 인쇄되는 30일 전 마무리해야 한다. 하지만 단일화 논의에 참여하고 있거나 대상으로 거론되는 세력마다 셈법이 다르다. 단일화 가능성을 낮게 보거나 단일화가 되더라도 파급력이 크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많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는 25일 “이번주중 보수 대통합이 될 것으로 본다”며 “남재준, 조원진, 유승민 이렇게 대통합하는 게 맞지 않느냐”고 말했다. 홍 후보는 “단일화를 위한 TV토론을 하자고 제안이 다 돼 있다”며 “유 후보를 제외하고 다 응하기로 했다는 답을 들었다”고 전했다. 이어 “만약 유 후보가 안 한다면 세 사람이라도 하겠다”고 덧붙였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국면 때 이탈한 보수세력을 재결집시키겠다는 계산이다. 탄핵찬성파인 바른정당은 물론 탄핵반대파인 태극기집회 세력까지가 단일화 대상이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단일화 대상이 아니다. 안 후보를 ‘민주당 2중대’ ‘호남 2중대’로 규정해야 안보 이슈 등에서 강점을 보이는 한국당 중심의 보수결집이 가능하다는 계산에서다.

반면 바른정당은 홍 후보와 안 후보, 유 후보의 3자 단일화를 염두에 두고 있다. 바른정당은 지난 24일 5시간에 걸친 마라톤 의총 끝에 유승민-안철수-홍준표 후보의 ‘3자 원샷 단일화’를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김무성, 주호영, 정병국 공동선대위원장이 당 차원에서 후보단일화 협상을 진행할 계획이다. 다만 한국당이나 국민의당 한쪽과의 양자 단일화에 대해서는 “(의총에서)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이 묵시적으로 나왔다”며 선을 그었다.

바른정당의 ‘3자 단일화’ 제안은 ‘명분’과 ‘실리’의 두 마리 토끼 잡기다. 바른정당 의원들은 탄핵국면에서 한국당과 뜻을 달리하면서 탈당했지만 지지율이 오르지 않아 당장 내년 지방선거부터가 걱정이다. 지난 12일 4·12 재보궐 선거에서 한국당이 총 30석 가운데 12석을 차지해 승리하면서 이같은 위기감은 더욱 고조됐다. 장제원 바른정당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지역 단체장·기초의원들, 한국당으로 돌아가고 있다”고 토로했다.

다만 뛰쳐나온 친정으로 머리 숙이고 들어가는 것은 모양새가 그렇다. 중도보수 행보를 보이고 있는 안 후보를 끌어들인 것도 이 때문이다. ‘3자 원샷 단일화’를 통해 명분은 국민의당과의 단일화에서 찾고 실리는 한국당과의 단일화에서 찾는 1석2조의 전략이다. 그러나 정작 단일화 당사자인 유 후보가 단일화를 거부하고 있어 바른정당 내 진통은 계속 될 전망이다. 유 후보는 이날 “기존 입장과 변한 게 아무것도 없다”며 완주 의사를 밝혔다. 또 서울 용산구 한국여성단체협의회에서 열린 성평등 정책 간담회에선 “돼지흥분제로 강간범죄 미수자가 대선후보로 등장하는 세상에서 성평등을 어떻게 할 수 있겠냐”며 홍 후보를 비판하기도 했다. 홍 후보와 단일화 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우회적으로 피력한 것으로 풀이된다.

국민의당도 연대나 단일화에 선을 긋고 있지만 속내는 복잡하다. 단일화 여부와 무관하게 한국당 등과의 단일화 논의에 얽히는 것만으로도 호남 지역을 비롯한 핵심지지층이 흔들린다. 그렇다고 단일화를 마냥 외면할 수도 없다. 보수대안을 찾아 안 후보를 지지하기 시작한 보수층이 떠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민의당의 딜레마이자 함정이다.

이 때문에 국민의당은 단일화를 하지 않겠다는 입장에도 불구하고 내부에서 일부 다른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했다. 박지원 상임선대위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선대위 회의 직후 “(바른정당에서 단일화) 제안이 와도 논의하지 않겠다”며 “우리는 우리의 정치 선을 지키며 ‘개혁과 통합, 미래로’ 기조에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반면 손학규 상임선대위원장은 “단일화는 지금 시간적으로 촉박하다”면서도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선거 승리를 위해 나가는 것이니 이건 안 된다 저건 안 된다 할 것은 없다”고 여지를 남겼다. 손 위원장은 바른정당의 이종구 의원과 회동하기도 했다.

각 당의 속내가 이처럼 다르지만 이를 조율할 시간이 많지 않다. 후보단일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투표용지 인쇄전인 30일 이전에 협상을 마무리해야 한다. 선거일 전날까지도 당사자간 합의만 있으면 단일화를 할 수 있지만 사퇴한 후보의 이름이 투표용지에 찍히면 단일화 효과는 반감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시민단체도 나섰다. 대한민국 국민포럼과 범시민사회단체연합의 500여 시민단체는 26일 3당 중도-보수 대통령 후보 단일화를 위한 시민사회 원탁회의를 개최한다. 이들은 "자유한국당, 국민의당, 바른정당과 세 분 후보님께서는 우리의 중재 노력에 적극적으로 부응해 참여해달라"고 당부했다.

김민우, 김태은 기자 minuk@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