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최광임 시인이 읽어주는 디카시] 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편집자주] 디카시란 디지털 시대, SNS 소통환경에서 누구나 창작하고 향유할 수 있는 새로운 詩놀이이다. 언어예술을 넘어 멀티언어예술로서 시의 언어 카테고리를 확장한 것이다. 자연이나 사물에서 시적 감흥(정서적 반응)을 일으키는 형상을 디지털카메라로 포착하고 그것이 전하는 메시지를 다시 문자로 재현하면 된다. 즉 ‘영상+문자(5행 이내)’가 반반씩 어우러질 때, 완성된 한 편의 디카시가 된다. 이러한 디카시는, 오늘날 시가 난해하다는 이유로 대중으로부터 멀어진 현대시와 독자 간 교량 역할을 함으로써 대중의 문화 향유 욕구를 충족시키에 충분하다.

[<261> ‘콩밭’ 황보정순(소설가) ]

머니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콩밭 주인 애 좀 탓겠다. 아니 슬슬 화가 치밀었을지도 모르겠다. 지금쯤 싹이 파릇파릇 돋아있어야 하는데 밭이 저리 맨 흙인 채로 정갈하게 있으니 농부의 마음이야 애가 타도 보통 탄 것이 아닐 게다. 일 년 농사를 망치는 일 아닌가 말이다. 어쩌면 ‘시루에 싹 틔워 심’는다 해도 이미 늦었을지 모를 일, 달포 전이면 벌써 어른 손가락 길이만큼은 자라고도 남았을 터 아닌가. 당연히 밭주인이야 온갖 생각을 하고도 남았을 것인데 마침 뒷산에서 비둘기 울음소리 들렸으리라. 저 비둘기들이 콩을 다 파먹어서 싹이 트지 않은 것일지 모른다는 의구심이 자연스레 들었을 법도 하다. 한데 어쩌나. 밭주인의 마음과 달리 비둘기는 구구구 제 울음 울기만 한다.

저렇듯 모든 생명에는 때가 있다는 것을 우리는 자주 잊고 산다. 그 때를 놓치면 영영 기회가 없기도 하거나 다음 때까지 속수무책 기다려야 하는 것이다.

머니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광임 시인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