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심일 신화 논란] 군 “심일 소령 전공은 사실”···새정부 출범 전 '역사 알박기’ 의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방부가 ‘가짜 신화’ 논란을 빚은 심일 소령(1923~1951년)의 북한군 자주포 파괴 전공이 사실이라고 결론내렸다. 새 정부가 출범하면 심일 소령 논란이 군 역사 바로잡기의 시발점이 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국방부가 대선 전에 ‘심일 신화’를 기정사실화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경향신문

심일 소령 동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군 안팎에서는 1949년 개성 송악산 전투의 ‘육탄 10용사’와 월남전 앙케패스 전투의 태극무공훈장 조작 의혹등 ‘가짜 영웅’ 논란이 수십년이 지난 지금도 끊이지 않고 있다. 게다가 수년 전부터는 북한군 도발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정부와 군 고위층의 책임 회피를 위한 ‘가짜 영웅’ 만들기 비판도 나오고 있다.

국방부는 25일 “‘고 심일 소령 공적 확인위원회’가 지난 7일 전체 회의를 열고 6·25 전쟁 당시 심 소령의 공적과 태극무공훈장 수여 과정에서 사실이 왜곡되거나 조작되지 않았다고 결론을 내렸다“며 ”그러나 심일 소령과 함께 적 자주포를 파괴한 것으로 알려진 육탄 5용사는 근거가 미약하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이날 공적 확인위원회의 최종 보고서를 발간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공적 확인위원회는 주로 문서와 같은 하드 팩트를 바탕으로 심일 소령의 공적을 확인했다“며 ”심일 소령의 공적을 부정하는 측의 자료는 주로 전투 생존자의 증언과 같은 소프트 팩트를 바탕으로 한 것이어서 신뢰도가 떨었졌다“고 전했다.

앞서 지난해 조선일보는 이대용 전 월남공사(예비역 육군 준장)의 발언을 인용해 “심일 소령이 6·25 전쟁 개전 당시 실제로는 대전차포 1문을 적에게 넘겨주고 도망갔다”고 보도했고, 군 안팎에서 ‘가짜 영웅’ 논란이 불거졌다.

이에 대해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는 심일 소령의 전과가 사실이라고 판단했고, 육군 군사연구소는 그의 공적이 허위라고 맞섰다. 그러자 한민구 국방장관은 지난해 9월 ‘심일 소령 공적 확인위원회’를 구성할 것을 지시했다.

공적 확인위원회는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추천 3명, 육군군사연구소가 추천한 3명, 한민구 국방장관 추천 1명 등 모두 7명의 위원으로 구성됐다. 이들 중 한명만 국방대 교수인 민간인이고, 나머지 6명은 육사 출신 현역 및 예비역이다.

확인위원회는 지난 1월 24일 사회자와 발표자조차 사전에 밝히지 않는 공청회를 열고 조사 결과만 일방적으로 발표하고 반대 의견자의 자료집 배포와 파워 포인트 설명마저 저지해 파행을 빚었다.

이런 와중에 육군은 심일상 수여를 잠정 중단했다. 육군은 심일 소령의 군인 정신을 기린다며 ‘심일상’을 제정한 뒤 군사훈련 성적이 우수하고 군인 기질이 뛰어난 육사 생도 3명과 전방 근무 중대장 중 탁월한 리더십과 통솔력을 발휘한 장교 14명에게 각각 수여해 왔다.

공적 확인위원회는 ”6·25 전쟁 발발 당시 강원도 춘천지역 6사단 7연대 대전차포대 2소대장이었던 심 소령이 이끌던 소대가 북한군 2사단의 SU-76 자주포 3대를 격파한 것은 사실과 부합한다“고 설명했다.

심 소령은 사후 무공훈장 중 최고등급인 태극무공훈장과 미 육군의 은성훈장을 받았다. 공적 확인위원회는 미 육군 측에 서면을 보내 심일 소령의 공적 조작 여부를 문의했고 “불가능하다(impossible)”는 답변을 받았다고 전했다.

고려대 최호근 사학과 교수는 ”국방부가 군과 학계에서 첨예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는데도 군이 작전하듯이 논란을 마무리하려 하는 것은 공익을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다“며 ”군과 민간 학자들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사실 공적을 인정하면 편하고, 뒤집기는 어렵다“며 ”그렇지만 공적 확인위원회의 발표는 차후에 심일 소령의 공적에 배치되는 문건 하나라도 등장하면 깨진다“고 지적했다.

<박성진 기자 longriver@kyunghyang.com>

▶ 경향신문 SNS [트위터]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