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중국, 미세먼지, 황사 지나가니 꽃가루 창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서울신문

아기 주먹 만한 꽃가루가 눈송이처럼 흩날리고 있다.


베이징을 포함한 중국 전역에서 꽃가루 날림으로 인한 시민들의 불편의 목소리가 거세지는 분위기다.

매년 이 시기 창궐하는 꽃가루 날림 문제 탓에 거리마다 야구공 크기의 솜뭉치를 연상케하는 꽃가루가 덩어리지어 날리는 탓이다.

꽃가루 문제의 주범은 류쉬(柳絮)라고 불리는 버드나무, 백양나무 암수에서 방출하는 꽃가루이지만 최근에는 버드나무 암수에서 떨어지는 버들개지도 시민들의 불편을 한층 강화시키고 있다는 지적이다.

매년 4~5월 고조되는 꽃가루 문제는 지난 1970년 베이징 시정부가 도시 미관사업의 일환으로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버드나무, 백양나무를 가로수 사업 묘목으로 지정하면서 시작됐다.

성장속도가 빠르고 병충해 등 재해 적응력이 뛰어나다는 점에서 현재 베이징 시내 가로수 가운데 4000만 그루 가운데 약 6%가 버드나무, 백양나무 암수인 것으로 현지 언론은 집계했다.

더욱이 대부분의 가로수 미관 사업이 공동주택 밀집 지역, 학교, 병원 등 인구 밀도가 높은 곳에 집중됐다는 점에서 꽃가루 날림으로 인한 시민들의 불편은 가중되는 상황이다.
서울신문

인도 한쪽에는 꽃가루가 수북하게 쌓여 있다.


때문에 이 시기 거리에는 마스크와 손수건으로 코와 입을 가리고 이동하는 시민들의 모습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 꽃가루 알레르기, 피부질환, 가려움증, 호흡기 질환 등으로 인해 병원을 찾는 환자들이 급증하고 있다고 현지 언론은 보도했다.

문제가 심각해지자, 최근 베이징시 원림녹화국 관계자는 “시 중심부로부터 4환 이내의 주택 밀집 지역을 중심으로 버드나무, 백양나무 암수 벌목 및 화학약품 처리를 통한 꽃가루 방지 사업에 우선 돌입했다”면서 “오는 2020년까지 봄철 꽃가루 날림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베이징 시정부는 지난 2005년부터 버드나무와 백양나무 등 꽃가루 날림 문제를 유발하는 수목 일부에 대해 민간의 식목을 일체 금지해오고 있다.

임지연 베이징(중국) 통신원 cci2006@naver.com



    ▶ [웰 메이드 N], 재미있는 세상[나우뉴스]

    ▶ [인기 무료만화] [페이스북]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