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0 (월)

[여론조사 팩트체크]②총선은 틀렸지만 대선결과는 맞출 수 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대선 앞두고 여론조사 봇물…신뢰도 저하에 여론조사 무용론

조사대상, 방법, 시기, 문항에 따라 여론조사 결과는 제각각

표본오차 고려해 숫자 함정 빠지지 말고 여론조사 추이를 봐야

총선은 여론조사의 무덤…87년 이후 대선결과 틀린 적 없다

[이데일리 김성곤 기자] 대선국면이 본격화하면서 여론조사가 봇물을 이루고 있다. ‘춤추는 여론조사’라는 표현이 등장할 만큼 조사기관과 방식에 따라 결과는 제각각이다. 한마디로 여론조사 불신시대다. 어떤 결과가 나와도 여기저기서 불평이 쏟아진다. 그러나 유권자들은 여론조사를 통해 대선 판세를 확인할 수밖에 없다. 투표 여부는 물론 지지성향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20대 총선에서는 믿는 도끼에 발등이 찍혔다. 그렇다면 5.9 장미대선에서는 여론조사기관의 예측치가 실제 대선 결과로 이어질까? 그럴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게 정답이다.

◇여론조사 숫자의 함정에서 벗어나야…오차범위 이내 1·2위 무의미

숫자의 함정에 빠지면 여론조사 결과는 사실상 백해무익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표본오차 변수를 고려하는 것이다. A후보가 42.0%, B후보가 39.0%를 받았다면 A후보가 3%포인트 차이로 앞서며 1위를 달린다고 볼 수 있다. 만약 표본오차가 ±2.0%p(95% 신뢰도)라면 A·B후보의 격차는 오차범위 이내이기 때문에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없다. A후보의 실제 지지율은 40.0∼44.0%, B후보의 지지율은 37.0∼41.0% 구간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A후보의 지지율이 40.0%, B후보의 지지율이 41.0%일수도 있다는 의미다.

또 A후보가 특정정당의 대선후보로 선출된 직후 여론조사를 실시한다면 A후보가 컨벤션 효과를 누리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유리하게 결과가 나올 수밖에 없다. 아울러 여론조사 문항 역시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지지율이 대표적인 사례다. 대통령 직무수행 평가와 관련해 ‘잘한다’·‘못한다’라는 2점 척도로 물을 때와 ‘매우 잘함’·‘잘하는 편’·‘못하는 편’·‘매우 못함’ 4점 척도로 물을 때 결과가 달라진다. 2점 척도를 사용한 여론조사에서 대통령 지지율은 4∼5% 수준으로 나타났지만 4점 척도를 사용한 여론조사에서는 10% 안팎으로 나타났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여론조사전문가들이 중시하는 건 이른바 추세다. A사, B사, C사, D사 등 여러 기관의 조사결과를 동일 비교하는 건 무의미하다. 유무선 비율, 샘플링 방법, 조사문항과 시기에 따라 결과가 다르기 때문이다. 차라리 정기여론조사를 실시하는 어느 한 기관의 조사결과를 꾸준히 검토하는 게 좋다. 국내에서는 리얼미터(매주 월), 알앤써치(매주 수), 한국갤럽(매주 금), 한국사회여론연구소(매주 일) 등이 매주 정기적으로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최악은 비슷한 시기에 발표된 각기 다른 여론조사 결과를 동일 비교하는 것이다.

◇총선 여론조사의 무덤…대선은 하나의 선거구 예측 가능

여론조사 무용론의 출발점은 20대 총선이다. 여론조사기관의 예측치와 실제 선거결과가 정반대로 나타났기 때문. 새누리당 압승 전망은 사상누각이었다. 오히려 민주당 선전·국민의당 대약진이라는 여소야대로 나타났다. 서울 종로 등 일부 지역구는 20% 포인트 이상의 격차가 뒤집혔다. 전통적인 유선전화 중심의 여론조사 한계도 분명했다. 총선 이후 여론조사업계에서 안심번호 휴대전화 여론조사의 확대를 요구한 것도 이 때문이었다. 당시 새누리당이 안심번호 휴대전화로 실시한 여론조사는 여소야대를 정확하게 예측했다.

따져보면 총선은 늘 여론조사의 무덤이었다. 방송사 출구조사가 시작된 1996년 15대 총선 이후 지난해 20대 총선까지 전패를 기록했다. 대선과 달리 총선은 253개 지역구를 조사한다는 특수성이 있다. 성별이나 연령대를 고려한 정확한 표본추출이 쉽지 않다. 또 유선전화 방식으로 젊은 층의 과소 표집이 불가피했고 지역정보가 없는 무선전화는 대표성이 떨어졌다.

반면 대선은 총선과 성격이 전혀 다르다. 전체 4200만명을 넘어서는 유권자를 대상으로 성·세대·지역별 비례에 따라 표본추출이 어렵지 않기 때문이다. 여론조사전문가인 신창운 덕성여대 교수는 “87년 대선 이후 여론조사기관이 대선 결과를 틀린 적은 없었다. 총선과는 달리 대선 결과도 제대로 예측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윤희웅 오피니언라이브 여론분석센터장은 “대선은 총선과 달리 전국이 하나의 단일 선거구다. 여론조사 정확도는 총선이나 지방선거보다 확실히 높을 수밖에 없다”며 “역대 대선에서도 미묘한 차이의 오차는 있어도 오차범위 이내의 정확도는 유지돼왔다”고 설명했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