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2 (일)

[단독] 저성장·고령화시대 ‘실버-블루 스타트업’이 돌파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창조경제연구회 발주 보고서

62%가 “세대간 공동창업 의향”


청년 실업자와 고령 인구의 동시 증가로 인한 우리 경제의 성장동력 저하가 심각한 가운데, 두 계층의 공동창업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청년이 가진 기술ㆍ아이디어와 시니어의 노련함ㆍ자금력을 결합해 창업 성공률을 높이고 일자리를 창출하자는 것이 핵심이다.

이에 따라 벤처ㆍ창업 관련 싱크탱크(Think Tank)들은 차기 정권이 ▷시니어(senior) 계층의 창업 활성화 유도, ▷두 계층을 연결하는 플랫폼 구성을 서둘러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4일 창조경제연구회가 중소기업청 산하 창업진흥원의 발주를 받아 최근 수행한 ‘청년ㆍ시니어 공동창업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창업 기업인 또는 창업 준비자 중 61.8%는 다른 세대와의 공동창업을 고려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세대와의 공동창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장점으로는 아이디어나 기술의 공유(76.2%), 인적ㆍ물적 네트워크의 확대(19%), 자금 확보(4.8%) 등이 꼽혔다. 세대 간 공동창업의 필요성이 현장에서 확산하고 있는 것이다.

창조경제연구회는 “청년의 아이디어와 시니어의 노하우가 시너지를 낼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며 “주요 선진국은 이미 시니어 창업 및 공동창업 활성화에 주력하고 있는 만큼, 우리도 빠른 대응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실제 미국에서는 다양한 기관이 시니어 창업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맥도날드나 코카콜라도 50세 이후에 창업해 성공을 거둔 케이스다. 미국 기업가정신 전문기관 카프만 재단의 조사에 따르면 1996년부터 2008년까지 12년간 55세~64세의 창업건수가 20~34세보다 높게 나타나기도 했다.

영국 역시 50대 이상 고령층의 창업 활성화를 위해 세대 간 공동창업 지원기관 프라임(PRIME)을 운영하고 있다. 일본은 ‘1억 총활약 플랜’을 통해 고령층 지식자원의 창업시장 활용도를 높이고 있다.

문제는 국내 창업 정책과 인프라가 청년창업 활성화에만 집중돼 있다는 점이다. 창조경제연구회는 “국내 노인 일자리 지원 사업은 대부분 임시직, 일용직 고용 알선에 그치고 있다”며 “은퇴자가 창업에 나서더라도 자영업, 생계형 창업으로 몰리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세대 간 공동창업 의향이 있어도 적합한 파트너를 찾기가 어렵다(34%)거나 소통의 어려움이 우려된다(58.6%)는 점 또한 걸림돌이다. 청년과 시니어가 적합한 동업자를 물색할 수 있는 ‘장(場)’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창조경제 연구회는 “공유경제 개념에 기반한 실시간 ‘긱(Gig) 플랫폼’을 만들어야 한다”며 “이를 통해 시니어가 청년 창업가의 멘토나 마이크로 벤처투자자(VC)로 활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슬기 기자/yesyep@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