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8 (토)

韓 산업경쟁력, 中에 추월당했다…산업연구원 빅데이터 분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지난 20년간 산업경쟁력 면에서 한국이 중국에 완전히 추월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본은 '잃어버린 20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경쟁력과 잠재력이 건재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한국 산업의 입지가 더욱 좁아질 것이란 지적이 제기됐다. 산업연구원이 26일 발표한 '수출 빅데이터를 이용한 한국 산업의 경쟁력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1995년부터 2015년까지 20년간 한국의 산업경쟁력 지수는 16위에서 13위로 올라섰다. 하지만 숙련도가 높은 고부가가치 상품 수출 비중으로 분석한 산업경쟁력 지수에서 한국이 20위권에 머무는 동안 중국은 같은 기간 산업경쟁력이 20위에서 3위로 치솟았다.

지난 20년간 산업경쟁력 면에서는 독일이 부동의 1위를 지켰고, 일본도 20년 전보다 두 계단 떨어졌지만 세계 5위를 지켰다. 폴란드 태국 인도 등이 새롭게 20위권 이내 국가로 부상했다. 반면 헝가리 홍콩은 20위권 밖으로 밀렸다.

더욱 심각한 부분은 산업의 성장잠재력을 판단할 수 있는 산업응집력 지수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산업응집력 지수에서 20년간 21위에서 25위로 오히려 후퇴했다. 반도체 같은 고부가가치 상품을 중심으로 집약적인 성장은 성공했지만, 유망한 산업으로 확장을 이뤄내지 못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동시에 중국을 비롯한 후발 신흥국의 추격 속에서 글로벌 산업생태계에서 한국의 입지가 좁아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잠재력 면에서도 중국은 20년간 18위에서 3위로 뛰어오르며 높은 산업경쟁력을 드러냈다. 동시에 이탈리아(1위), 독일(2위), 미국(5위)을 비롯한 선진 산업강국들이 굳건히 5위권 이내에 포진했다. 신흥국에선 같은 기간 폴란드가 19위에서 8위로 뛰어올라 두드러진 면모를 보였다.

윤우진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균형 있는 산업 발전을 위한 생태계 재편 정책이 추진돼야 한다"며 "동시에 기업 역동성을 유지하기 위해 좀비기업을 퇴출하고 신생기업의 도전을 장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 <용어 설명>

▷ 산업응집력 지수 : 현재 수출되는 주력 상품들이 기술력 있고 잠재적인 경쟁력을 갖춘 주변 품목들과 얼마나 밀접하게 연결돼 있고, 향후 확장성이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 미래 성장 잠재력을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전정홍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