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3.1운동 단체 ‘설민석 허위·왜곡’ 사과 요구 공개질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설민석씨 16일 사과의 뜻 밝혔지만

“설씨 강의 등 허위사실 정정· 명확히 사과를”



최근 역사강사 설민석씨의 3.1운동 민족대표 폄훼와 관련해 ‘3·1운동 100주년기념사업추진위원회’가 설씨에게 발언 내용 시정과 사과를 요구하는 ‘공개질의서’를 띄웠다.

이 단체는 설민석씨의 강의 영상 <설민석의 십장생 한국사>와 저서 <무도 한국사 특강>초판본이 3·1운동 민족대표 33인에 대해 “오류와, 사자와 후학에 대한 모욕이 되는 내용을 다수 포함해 3·1운동 의의 전체를 희석시키고, 건국의 초석이 되었던 3·1운동 정신을 왜곡하고 있다”고 밝혔다.

설씨가 지난 16일 본인의 입장과 사과의 뜻을 밝혔지만, 명백한 허위사실에 대한 분명한 정정과 명확한 사과가 필요하기에 공개질의를 한다는 것이다.

“태화관 요릿집이라고 3·1 거사 의의 축소되지 않아

주옥경은 마담 아닌 손병희 선생 부인, 여성운동 선구자”

이 단체가 설씨의 강의와 책의 주요 오류로 지적한 것은 세가지다. 첫째는 태화관을 ‘최초의 룸살롱’으로 표현한 대목이다.

단체는 질의서에서 “민족대표들의 회합장소에 대한 폄하를 바탕으로 민족대표의 역할을 축소하고, 그분들을 비난하기 위해 왜곡한 것”이라며 “태화관이 ‘요릿집’ 이었다고 해서, 거사의 의의가 축소될 수 없음을 인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두번째는 ‘주옥경 여사를 태화관 마담’으로 표현한 점이다. 질의서는 “당시 주옥경은 손병희 선생의 부인이자 비서로서 민족대표들 간의 연락과 안내를 맡은, 독립선언의 숨은 주역의 한분이며, 여성운동의 선구자로서도 큰 공헌을 한 분”이라고 주장했다.

단체가 세번째 오류로 지적한 것은 ‘민족대표 대부분이 변절했다’고 한 대목이다. 질의서는 “이 문제에 관한 한 엄격한 기준을 가지고 역사 기록으로 남기기 위해 수십 년간의 노력 끝에 민족문제연구소에서 발간한 친일인명사전을 기준으로 할 때, 민족대표 33인 중 최종적으로 친일인사로 판명된 인물은 3명”이라며 “그 밖의 인물들 중에서도 구체적인 행적을 놓고 민족문제연구소의 결정과 관계없이 친일행위를 했다고 평가할 수는 있겠으나 이때는 그 근거를 명확하게 제시하고 ‘대다수’라는 표현이 야기할 오해의 소지가 없도록 해야한다”고 지적했다.

이 단체는 또 ‘민족대표의 역할과 위상에 대한 평가’와 관련해 “민족대표의 역할이 3월 1일의 ‘현장 지휘’보다 더 광범위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진행되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면서 “천도교의 이병헌, 승동교회의 김원벽, 한위건 등이 학생들과 교감하며 연락을 주고 받았기에 탑골공원에서 시민 학생이 모였을 때 태화관과 교류가 없었다는 것 역시 사실이 아니다”고 밝혔다.

“민족대표 33인 중 친일은 3명 뿐

나머지는 계속 비타협, 독립운동

많은 사람이 일제의 고문, 후유증으로 병사

학생 시민운동도 이들과 연계

설씨의 ‘대부분 변절’ 주장은 사실 아니다“

3.1운동 당일 서울을 제외하고 평안도와 함경도의 6개 도시에서 만세운동이 일어나고, 3월10일 전후엔 전국주요도시에서 만세운동이 전개된 것은 33인을 주축으로 천도교, 기독교, 불교 3개 교단에서 체계적으로 독립선언서를 배포하고 조직적 동원을 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질의서는 이어 “민족대표는 1년에서 3년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는데 양한묵 선생은 재판 도중 순국했고, 박준승 선생은 복역기간 중 순국했으며, 손병희 선생은 회생 가능성이 없을만큼 병이 깊어진 뒤에야 병보석으로 풀려나와 투병중 순국했고, 이종일 선생과 이종훈 선생 역시 고문 후유증으로 몇년 뒤에 순국했다”며 “살아남은 분들도 변절한 3명을 제외하고는 출감 후에 일제에 대한 비타협적 태도로 일관하거나 만주로 진출해 독립운동을 전개했다”고 밝혔다.

질의서는 “당시 시위의 주역인 학생과 시민들 중 다수는 바로 천도교 기독교 불교의 신도들이거나 민족대표들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대중이었다”며 “그들은 민족독립이라는 대의를 위해 자연발생적으로 일어섰지만 대부분 민족대표 33인과 그들에 의해 미리 조직된 지방 지도자의 지도에 따라 이 운동에 참여해 33인과 3·1민중은 결코 분리될 수 없는 한 몸이다”고 주장했다.

‘3·1운동 100주년기념사업추진위원회’는 3·1운동 100돌(2019년)을 앞두고 종교시민사회 공동행사와 3·운동에 대한 문화사업, 청소년 교육 등을 위해 지난 2015년 발족했다. 개신교, 천도교, 불교, 가톨릭, 원불교 성균관 민족종교협의회등 7대종단 대표들이 고문을 맡고, 이들과 사회단체들이 대표들이 추전한 김명혁 목사, 박종화 목사, 박경조 성공회 주교, 법륜 스님, 무원 스님 등 33인이 공동대표를 맡고, 박남수 천도교 전 교령이 상임대표로 있다.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한겨레

<어쩌다 어른> 화면 갈무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겨레 절친이 되어 주세요! [신문구독] [주주신청]
[페이스북] [카카오톡] [정치BAR]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