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주열 "가계부채 증가속도 우려…성장 제약할수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시스】안호균 기자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3일 최근 가계부채 급증세에 대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90%를 넘어서면서 국제결제은행(BIS)의 분석을 인용하면 성장에 부담을 줄 수 있는 수준 아닌가 하는 경계감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날 오후 한은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오찬간담회에서 "지난해 말 가계부채 잔액이 1344조원으로 두자릿수의 증가율을 보일 정도로 큰 폭으로 늘어 증가 속도가 우려스러운 것이 사실"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가계부채와 관련해서는 금융통화위원회 뿐만 아니라 정부와의 컨센서스가 있다고 본다"며 "첫번째 컨센서스는 규모의 증가 속도는 억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변동금리는 금리 상승에 취약하기 때문에 가계부채의 구조를 개선하려는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며 "또 금리 상승에 취약한 취약 가구에 대한 지원 대책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부와 감독 당국도 이런 인식 하에서 가계대출을 관리하고 있고, 취약계층 지원 방안도 강구 중에 있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최근 대선을 앞두고 정치권에서 제기되고 있는 가계부채 총량 규제에 대해 "가계부채가 총량 면에서 볼때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한 수준으로 늘어났다고 하는 것은 누구나 다 이해하고 있는 상황 판단"이라고 언급했다.

지난해 국회에 출석해 가계부채 총량 규제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힌 것에 대해서는 "한국은행법 28조에 근거해 직접적으로 규제하게 된다면 은행의 자금 운용, 가계의 자금 조달을 제약할 것이고 주택 경기까지 위축시킬 수 있다는 원칙론적인 발언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후보들의 가계부채 관련 공약들이 구체적인 실행 계획까지는 밝혀지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그 이상으로 언급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가계부채 문제를 완화할 방안으로는 고용·소득 증대를 꼽았다.

이 총재는 "경기 회복세를 살리고 일자리를 늘려서 고용과 소득을 늘리는게 가장 바람직한 아이디어라고 생각한다"며 "부채의 절대 규모를 줄이는 것은 경제에 쇼크를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가뜩이나 경제 회복세가 미약한데 부채의 절대 규모를 줄였을 때의 충격을 감내할 수 있을지 걱정되는게 사실"이라며 "소득과 고용을 늘리는 것이 이상적인 방법"이라고 제안했다.

ahk@newsis.com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