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브라질 정부 "썩은 고기 안 팔았다…우리 안전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찰 초기 발표 축소 정정

17개 시장 수입 중단하면서 수출규모 곤두박질

뉴스1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시내 슈퍼마켓에서 소고기 등 육류를 전시해놓은 모습 © AFP=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윤지원 기자 = 브라질 정부는 22일(현지시간) 부패 고기가 해외 시장까지 흘러들어갔다는 경찰 초기 조사를 부인하면서 썩은 고기 판매는 애초에 없었다고 정정 발표했다.

지난 19일 브라질 경찰은 검역관에 뇌물을 주고 부패고기를 불법 유통한 작업장이 최소 21곳이며 이를 통해 부패된 고기가 해외 시장으로 넘어갔을 수 있다는 2년간의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육류 산업에 종사하는 100명 이상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번 조사를 통해 38명에 체포 영장이 발부됐고 77명에 대한 참고인 조사가 진행됐다.

그러나 미셰우 테메르 대통령 정부는 사건이 알려진 지 사흘만에 해당 수사 결과를 부인하는 입장을 취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유통업자들이 검역관에 뇌물을 준 건 검역을 빨리 처리하기 위해서였으며 그 과정에서 부패 육류가 판매된 적도 없다는 주장이다.

농업부 산하 농업보호국장 루이스 란젤은 22일 취재진에 "경찰은 브라질 육류에 대해 의심될 만한 정보를 발견한 것이 없다"면서 "경찰이 문제로 지적한 건 사실 합법적이고 안전한 것"이라고 밝혔다.

불법 유통 의혹을 받은 작업장 21곳의 수출 허가는 고객 존중 차원에서 취소한다고 밝혔다. 란젤 국장은 또 브라질산 수입을 금지한 중국, 칠레 등을 안심시키기 위한 서한을 보냈으며 세계무역기구(WTO)에도 브라질의 검역 시스템은 제대로 작동하고 있다는 내용의 서류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브라질 재판관 마르코스 실비아는 인터뷰에서 불법 유통이 이뤄진 사업장은 전체 업계의 극소수에 불과하다면서 "우리는 수출되거나 국내 시장에 유총된 육류가 부적합하다고 말할 수 없다"고 했다.

브라질 정부의 이 같은 발표가 얼만큼 신뢰할만한 것인지는 불분명하다. WSJ에 따르면 육류 불법 유통 관계자들이 체포되는 과정마저 경찰 내부에서도 불투명하게 진행됐다. 현재 경찰은 "검역 시스템 전부가 문제된 것은 아니다"라며 정부와 동일한 입장을 취하고 있지만 조사 결과를 처음 발표한 경찰 담당자는 이후 개별적인 인터뷰 요청을 거부하고 있다.

브라질 당국은 한국 정부가 육류 수입 금지 결정을 취소한 것을 환영했다. 또 칠레 역시 금수 조치를 끝낼 것이란 기대를 나타내고 있다. 한국 정부는 썩은 닭고기 유통 업체 가운데 한국 수출 기업이 없다는 것을 확인한 뒤 21일 브라질산 닭고기 유통 판매 중단 조치를 해제했다.

브라질 농업부에 따르면 일일 평균 6050만 달러(677억8420만원)에 달한 육류 수출액은 17개 시장이 브라질산 고기에 문을 걸어 잠그면서 22일 기준 일일 7만 4000달러(829만원)로 곤두박질쳤다. 가장 큰 수출국인 중국은 모든 종류의 브라질산 육류에 금수 조치를 내렸으며 미국은 검역을 강화하기로 결정했다.

뉴스1

브라질산 육류 수입을 금지한 홍콩 슈퍼마켓은 21일 브라실산 닭고기 등을 모두 처분했다. © AFP=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yjw@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