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2 (수)

홍성덕 LH 행복주택본부장 "지역특성 살려야 진정한 도시재생…천안 복합개발사업 2년내 가시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도시가 미래다 ◆

매일경제

천안 동남구청사 조감도. [사진 제공 = LH]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도시재생은 지역별 특성이 반영돼야 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지방자치단체 주도로 이뤄져야 합니다. 정부는 국가 전체를 그리는 공공 디벨로퍼 관점에서 각 지자체의 도시재생이 완성될 수 있도록 때로는 적극적으로, 때로는 최소한의 역할만 하는 조력자입니다."

홍성덕 한국토지주택공사(LH) 행복주택본부장은 도시재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중앙부처, 지자체, 주민, 민간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컬래버레이션(협업)이라고 강조했다. 정부가 택지를 조성해 민간기업에 팔고 기업은 그 땅에 아파트를 지어 분양하는 전통적인 개발사업과 달리 소수 사업 주체의 의지만으로는 사업을 성사시키기가 워낙 어렵기 때문이다.

도시재생에 있어 LH의 역할은 물처럼 가변적이어야 한다는 게 홍 본부장 생각이다. 때로는 앞장서 재생사업을 기획하고 민간기업의 참여를 독려하는 주도자이지만 어떤 때에는 한발 뒤로 물러나 지자체가 잘할 수 있게끔 최소한의 지원만 한다는 것이다. 홍 본부장은 "도시는 태어나서 성장하며 성숙과 쇠퇴를 반복하는 생명체"라며 "쇠퇴기에서 추진되는 도시재생은 이미 형성된 지역 자산과 도시민의 생활을 최대한 존중하면서 활력을 되찾는 방향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우리나라에서 도시재생의 필요성이 부각된 것은 2000년대 들어서다. 1970~1980년대 고도경제성장기를 거치며 급격하게 도시화가 진행된 탓에 도시재생 수요도 몰리고 있다. 2000년대 들어 도시재생 취지를 담은 사업이 국가 및 지자체,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추진되기 시작했고 2013년 국토교통부가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으로 법적 기반도 마련했다. 국토부 산하 공기업인 LH는 공공 디벨로퍼를 자처하며 각종 도시재생사업을 지원하거나 직접 참여하고 있다.

LH가 직접 참여하는 도시재생사업 중 가장 진척이 빠른 곳은 천안 동남구청사 복합개발사업이다. 1932년 준공 후 84년이 경과해 노후화된 구청사와 주변 공터를 활용해 공공시설과 수익시설이 복합된 새로운 경제·문화 거점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어린이회관과 대학생 기숙사(302실), 지식산업센터, 주상복합 451가구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LH 스스로 자산관리회사(AMC)가 되며 현대건설이 설계·시공, 주상복합 상가 인수·운영, 주택 분양 등을 담당한다. 주택도시기금 지원 심사가 마무리돼 지난해 12월 기공식이 이뤄졌고 2019년 준공 예정이다.

홍 본부장은 LH가 도시재생과 연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수 있어 향후 잠재력은 더 클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도시재생과 행복주택을 묶는다든지 산업단지 재생, 도시활력증진지역 개발사업, 새뜰마을, 매입임대주택 등 다양한 정책사업을 묶어서 패키지로 추진할 계획"이라며 "LH 지역본부와 지자체의 유대관계를 활용해 각 지역에 필요한 도시재생사업이 무엇인지를 파악해 기존 사업과 연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매일경제

홍 본부장은 도시재생법 시행 3년 만에 천안 동남구청사와 같은 가시적인 성과물을 만들어냈지만 아직 가야 할 길이 멀다고 지적했다. 그는 "3년 만에 성과를 기대하는 것 자체가 시기상조이기는 하지만 현행 도시재생에 대한 지적과 반성의 목소리도 들리고 있다"며 "예컨대 도시재생법은 만들어졌지만 지자체 담당자는 관련 경험이 부족해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홍 본부장은 도시재생에서 가장 경계해야 할 사항으로 단기 성과주의를 꼽았다. 실제 도시재생의 필요성에는 모두 공감하지만 그 실행 방법을 두고는 이해관계에 따라 의견이 다르다. 정권 교체 등 정치적 이슈에 따라 도시재생사업의 기조가 자꾸 바뀐다면 도시는 누더기가 될 수밖에 없다.

"지자체는 처음부터 국비 지원을 받기 위한 도시재생에 얽매이지 말고 지역 특성을 면밀하게 파악한 후 마스터플랜을 만들어야 합니다. 마스터플랜을 만들고 나면 어떤 사업이 국비 지원이 필요하고 어떤 사업은 지자체가 해야 할지 구분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정순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