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대선후 ‘엘시티 특검’ 도입에 지역 의견 분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장기간 수사로 기업 피해 우려”

부산상의, 정치권에 곧 입장 전달

시민단체는 “철저히 수사해야” 반겨

4당 원내대표가 최근 부산 해운대 엘시티 개발사업 비리 의혹 사건에 대해 대선 이후 특별검사 도입에 합의하자 지역 상공계는 내심 불편한 기색이 역력하다. 반면 야권 일부와 시민단체는 환영하는 분위기다.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자유한국당 정우택, 국민의당 주승용, 바른정당 주호영 원내대표는 20일 국회에서 엘시티 사건을 특검 수사하자는 데 잠정 합의했다. 시기는 5월 9일 대선 이후로 의견을 모았지만 방식은 정하지 못했다.

특검 소식이 전해지자 지역 상공계는 즉각 우려를 표했다.

부산상공회의소 관계자는 “엘시티 사업 시행 과정에서 탈법 행위가 있었다면 반드시 밝혀져야 한다”면서도 “장기간 검찰 수사로 건설을 비롯한 여러 산업 부문에서 부산 경제가 위축됐는데 특검까지 도입되면 더 큰 피해가 올까 걱정”이라고 말했다. 부산상의는 조만간 상공인의 의견을 수렴해 정치권에 입장을 전할 예정이다. 부산상의 일부 인사는 지난해 검찰의 수사가 본격화하자 이영복 엘시티 회장의 선처를 요구하는 탄원서를 검찰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의 한 건설사 임원은 “건설 시행을 하려면 프로젝트파이낸싱(PF)이 원활해야 하는데 엘시티 수사가 장기화하면서 경기가 많이 얼어붙은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시민단체는 특검 도입을 반겼다.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는 최근 성명을 내고 “엘시티 특혜분양 의혹에 대해 검찰은 납득할만한 수사 결과를 내놓지 못했다”며 “이 회장이 애초 엘시티 특별 공급분을 분양하지 않고 로비 수단으로 활용한다는 의혹이 있었지만 검찰은 건드리지도 못했다”고 꼬집었다. 또 “부산시, 부산도시공사, 건축심의위원, 지역 정관계, 언론계의 토착 비리나 유착, 투자이민제 지정 등 행정부의 제도적 특혜 지원 의혹은 여전히 숙제로 남아있다”며 “검찰이 신뢰를 회복하려면 한 점 의혹 없이 수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의당 부산시당도 “엘시티에 대한 철저한 수사가 지역경제를 위축시키지 않는다. 부정을 청산하면 지역사회가 더 투명해지기 때문에 경제에 도움이 된다”고 주장했다.

시민 반응은 엇갈렸다. 대학생 배주현 씨(22)는 “비리 수사와 지역경제가 무슨 상관이냐. 잘못된 걸 고쳐야 경제가 더 살아난다”고 말했다. 전직 건설업체 간부는 “수십 년간 부산 경제를 좀먹은 부패 세력들이 단합한 사업이 엘시티”라며 “수사를 더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김모 씨(52)는 “5000만 원 주고 산 엘시티 아파트 분양권 가격이 떨어지다 겨우 회복이 되고 있다. 비리로 얼룩진 건설 현장이 전국에 많다는데 엘시티만 유독 심하게 수사하는 것 같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해운대 엘시티 주변 한 식당 주인도 “비리를 수사하는 건 맞지만 질질 끌어서 피해를 보는 상인이 많다”고 말했다.

강성명 기자 smkang@donga.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