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3 (금)

미세먼지 → 부유먼지, 초미세먼지 → 미세먼지로 용어 변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제 기준과 맞춰 혼란 없게

경향신문

서울 대기오염 ‘세계 2위’ 21일 오후 N서울타워 전망대에서 한 시민이 망원경으로 흐린 서울 풍경을 보고 있다. 다국적 커뮤니티 ‘에어비주얼’의 공기품질지수 측정에 따르면 수도권에 미세먼지가 짙게 깔린 이날 오전 7시(한국시간) 기준으로, 서울은 인도 뉴델리에 이어 세계 주요 도시 중 두 번째로 대기오염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창길 기자 cut@kyunghyang.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으로 미세먼지(PM10)는 ‘부유먼지’로, 초미세먼지(PM2.5)는 ‘미세먼지’로 용어가 바뀐다.

환경부는 21일 국내에서 쓰이는 미세먼지 용어가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용어와 달라서 빚어진 혼란을 줄이기 위해 용어를 바꾸는 대기환경보전법 개정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대기 중에 떠다니며 숨을 쉴 때 몸속에 들어가 피해를 주는 물질은 학술적으로는 ‘입자상 물질(Particle Matter·PM)’ ‘입자’ ‘에어로졸’ 등으로 불린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사람들이 알아듣기 쉽게 ‘먼지(Dust)’로 사용해왔다. 1995년 환경정책기본법 환경기준에 PM10을 처음 적용하면서 ‘미세’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2015년 PM2.5를 추가하면서 ‘초’라는 꾸밈말이 붙었다. 하지만 국제사회의 기준은 다르다. ‘초미세먼지’(PM1.0)는 주로 크기 1㎛(마이크로미터·1㎛는 100만분의 1m) 이하의 물질을, 미세먼지(PM2.5)는 크기 2.5㎛ 이하의 물질을 의미한다.

환경부는 대기환경학회와 협의하여 국제기준에 맞게 PM10은 부유먼지, PM2.5는 미세먼지로 사용하기로 했다. ‘초미세’라는 표현은 국제사회의 기준에 맞춰 앞으로 PM1.0 이하에 사용될 수 있게 남겨둔다. 부유먼지와 미세먼지를 아우르는 용어로는 ‘흡입성 먼지’를 쓰기로 했다. 미세먼지 용어 논란은 지난해 고등어를 구울 때 ‘초미세먼지’가 발생한다는 보도를 통해 공론화됐다. 고등어를 구울 때 나오는 연기에 다양한 입자물질이 포함된다는 취지가 용어상 혼란으로 잘 전달되지 못했다고 환경당국은 보고 있다. 환경부는 ‘대기환경보전법’ 개정안에 이번 용어 변경 내용을 반영하고, 관련 법을 개정해 미세먼지 용어를 통일할 계획이다. 당분간 용어 변경에 따른 혼란과 불편이 발생할 수 있어 대국민 홍보활동도 강화하기로 했다.

<배문규 기자 sobbell@kyunghyang.com>

▶ 경향신문 SNS [트위터]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