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제주서 보이스피싱 피해 속출…노인들 1억여원 잃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제주에서 하루 만에 전화금융사기(보이스 피싱)사건이 속출해 60∼70대 할머니 3명이 애써 모은 1억2000여만원을 한순간에 잃었다.

21일 제주경찰청에 따르면 20일 오전 10시쯤 제주시에 사는 A(68·여)씨에게 낯선 남성의 전화가 왔다.

이 남성은 위협적인 목소리로 “아들이 보증을 섰다. 돈을 갚지 않아 아들을 잡아왔다”고 협박했다.

빚을 갚지 않으면 ‘아들을 살해해 장기를 적출하겠다’는 등 협박성 말도 이어갔다.

A씨는 아들 이름까지 거명하며 끔찍한 협박을 늘어놓는 범인에게 덜컥 겁을 먹어 속아 넘어갔다.

A씨는 보이스 피싱 범인의 요구대로 2400만원 전액을 현금으로 인출한 뒤 제주시 노형동에 있는 모 할인마트 앞에서 범인을 직접 만나 돈을 건네주고 말았다.

서귀포시에 사는 B(76·여)씨는 같은날 오후 새마을금고 계좌에서 현금 7000만원을 급히 찾아 집 안에 놓아두었다가 절도를 당했다.

수사기관을 사칭하며 ‘누군가 새마을금고 계좌에 있는 돈을 인출하려고 하니 집에 보관하라’는 보이스 피싱 범인의 말에 속아 넘어간 것이다.

범인은 집에 돈을 놔두는 것을 확인이나 한 듯 이후 B씨에게 다시 전화를 걸어 ‘은행에 새로운 계좌를 개설해야 한다’고 말해 집을 비우게 한 뒤 보관된 7000만원을훔쳐 유유히 달아났다.

비슷한 지역에 사는 C(73·여)씨도 수사기관을 사칭한 보이스 피싱 범인의 말에 속아 3000만원을 인출해 집안에 뒀다가 같은 수법으로 털렸다.

이날 오전 11시쯤 제주시에서도 보이스 피싱 범인에게서 ‘계좌가 범죄에 연루돼 안전하게 집에 보관해 두라’는 사기 전화를 받은 70대 할머니가 현금 3800만원을 인출하려다가 금감원 제주지원의 연락을 받은 농협 직원이 설득, 피해를 막았다.

경찰은 이들 피해자의 집과 주변의 폐쇄회로(CC) TV를 확인하며 사기범을 추적하고 있다.

또 금융감독원 제주지원과 합동으로 긴급 피해 경보를 발령했다.

각 금융기관에 보이스 피싱 발생 사례를 알려 고액 인출 등 특이사항이 있는 경우 경찰에 즉시 알려달라고 요청도 했다.

전화금융사기 피해를 봤거나 그런 전화를 받는 경우 경찰(112)과 금융감독원 보이스 피싱 지킴이(1332)에 신고해달라고 당부했다.

제주에서는 지난해 총 59건의 보이스 피싱 사건이 발생 9억8000만원의 피해가 발생했다.

피해자 성별로는 여성이 76.3%로 남성 23.7%보다 많았다.

연령대는 20대가 39%로 가장 많았고 30대 15.3%, 40대 11.9%, 50대 11.9%, 60대 6.6%, 70대 15.3%다.

수법별로는 수사기관 사칭 71.2%, 금융기관 사칭 15.3%, 납치 방지 10.2% 등의 순이다.

제주=임성준 기자 jun2580@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