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환경부, 전국 24곳 하천과 습지서 희귀균류 60종 발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종=국제뉴스) 노충근 기자 =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2016년 담수균류자원 조사ㆍ발굴사업' 결과 낙동강, 영산강, 제주도 등 전국 24곳의 하천 또는 습지에서 희귀균류 60종(신종 6종, 미기록종 54종)을 발견했다고 밝혔다.이번에 발견한 신종 담수균류 6종은 레몬니에라 속(Lemonniera sp.), 테트라클라디움 속(Tetracladium sp.), 페니실리움 속(Penicillium sp.), 코니오채타 속(Coniochaeta sp.), 모티에렐라 플루비에(Mortierella fluviae), 미메크리디움 플루비에(Mymecridium fluviae)이다.

54종의 미기록종은 자낭균문 41종, 담자균문 2종, 난균문 4종, 접합균문 7종이다.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이번에 발견한 희귀균류 60종을 대상으로 셀룰라아제 등 효소의 활성을 평가하고, 최적생장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후속연구를 수행 중이다.

담수 환경에 서식하는 균류는 통상 진균(자낭균문, 담자균문, 접합균문 등)과 유사균류(난균문)로 구성되어 있다.이들 담수 균류는 하천, 습지, 호수, 연못 등 다양한 곳에서 발견되며, 담수 생태계의 유기물 분해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번에 발견된 신종ㆍ미기록종은 국내에서 연구가 미진한 수생균류와 접합균류가 다수 포함됐고 신종인 레몬니에라 속과 테트라클라디움 속을 비롯해 네오넥트리아 루그두넨시스(Neonectria lugdunensis) 등 미기록종 4종은 담수환경에 특이적으로 서식하는 수생균류로 밝혀졌다.

이들 종은 주로 산소가 풍부한 수면 아래에서 사방사형, 다방사형, 에스자형, 연충형 등의 비교적 크고 특이한 형태의 분생포자를 만들어 수환경 내의 유기물을 분해하여 서식한다. 전세계적으로 레몬니에라 속은 7종, 테트라클라디움 속은 8종만 보고되어 있다.

신종 모티에렐라 플루비에와 그 외 미기록종 7종은 접합균류에 속하며, 일반적으로 접합균류가 단백질 분해효소와 다당류 분해효소 생성 능력이 뛰어나다는 점을 볼 때 이들 균도 상업적 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미기록종 액티노뮤코 엘레강스(Actinomucor elegans)도 발효식품 생산에 이용되고 있고, 트라이코더마(Trichoderma) 속의 일부 종도 친환경 생물제재와 식물 생장촉진제로 활용되고 있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이번에 발견한 희귀균류 중 신종 모티에렐라 플루비에를 공동 연구를 수행한 이향범 전남대 교수와 함께 해외학술전문지인 균류다양성지(Fungal Diversity 80호 2016. 9.28.)에 게재했으며, 나머지 종들도 학계에 공식 보고할 예정이다.

안영희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장은 "이번 연구 결과는 담수라는 한정된 서식환경에서 신종과 미기록종 균류자원을 발견하여 우리나라의 생물다양성을 확대한 매우 의미 있는 결과"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Copyright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