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2 (일)

미국 금리 인상…한국 경제 회복 발목 잡을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국 금리 인상…한국 경제 회복 발목 잡을까

MBN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금리 인상/사진=MBN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6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올리면서 당장 한국경제에 어떤 영향을 줄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우선 이번 금리 인상으로 최근 부진을 이어가고 있는 우리 경제 내수 침체의 골이 더 깊어질 수 있습니다.

최근 한국경제는 수출 회복세가 생산·투자로 확대되면서 미약하게나마 개선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소비를 중심으로 한 내수는 여전히 부진하면서 전체 경기 회복세에 제약이 되고 있습니다.

미국의 금리 인상은 당장 국내 금리 인상 압박으로 이어져 이미 시작된 시중 금리 상승세를 한층 가속화할 전망입니다.

한국은행은 가계부채 등의 문제로 기준금리 연 1.25%를 8개월째 동결 중입니다.

그럼에도 이미 FOMC 전 금리 인상 기대로 올해 1월 은행 가계대출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3.39%로 전월보다 0.10%포인트 올랐습니다.

은행 가계대출 금리는 지난해 8월부터 5개월째 올라 2015년 2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대출금리가 오르면 가계의 이자 상환 부담이 더욱 커지게 됩니다.

가뜩이나 닫혀 있는 지갑은 더 열릴 수가 없게 돼 전체 내수 경기에는 악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됩니다.

정부는 내수를 살리기 위해 지난달 내수 활성화 대책을 발표하는 등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약발이 먹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미국 금리 인상은 우리 금융시장에서의 급격한 외화유출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아직은 미국의 금리가 한국보다 낮지만, 미국이 올해 2차례 더 인상하면 금리가 역전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국내에 들어와 있는 해외 투자 자금이 금리가 더 높은 미국으로 급속도로 유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미국 1년 국채금리가 25bp(1bp=0.01%포인트) 오르면 한국의 외국인 주식투자자금은 3개월 후 3조원 유출된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외화유출을 막으려고 금리를 인상하면 가계부채 뇌관에 본격적으로 불이 붙게 되고, 그렇다고 금리를 동결하면 돈이 빠져나는 딜레마에 빠질 수 있습니다.

그나마 좋은 흐름인 수출 호조세가 지속될지도 장담하기 어려워집니다.

미국 금리 인상으로 달러화 강세가 심화돼 원/달러 환율이 오르면 한국 기업들의 가격 경쟁력이 높아지는 점은 수출에 도움을 주는 요인입니다.

금리 인상 자체가 미국 경제의 호조세를 반영하는 것인 만큼 대미 교역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 국제 금융시장의 불안으로 신흥국 경기가 침체될 수 있는 점은 수출 회복 지연 요인입니다.

한국의 수출에서 중국 등 신흥국 의존도는 57.5%에 달한다. 신흥국 경기가 타격을 받으면 한국 수출의 감소로 직결됩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대거 빚더미에 오른 신흥국은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면 원리금 상환과 만기 연장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향후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속도가 관건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이번 금리 인상은 그동안 꾸준히 예측돼 왔기 때문에 충격이 크지 않지만, 앞으로 인상 횟수와 속도에 따라 한국경제에 대한 위협 요소가 실제 얼마만큼의 파급력을 가질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미국 연준의 다음 행보 전에 가계부채 문제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홍준표 현대경제연구원 동향분석팀장은 "당장 해소할 수는 없겠지만, 추가 금리 인상 전에 가계부채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정책을 정부가 마련해야 한다"며 "부채 증가율이 조금이라도 하락하는 등의 긍정적인 신호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앞으로 정책 집행에 더욱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