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먼 친척이라도 찾습니다”… 독립운동가 3인 후손 못 찾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나라의 독립을 위해 희생한 분들인데, 후손이라도 찾았으면 좋겠습니다.”

국가보훈처 울산보훈지청은 울산에서 3·1독립만세운동으로 45명이 ‘독립운동가’로 인정받았지만, 이들 중 3명은 아직도 후손을 찾지 못해 보훈처에서 훈포장을 보관하고 있다고 1일 밝혔다.

주인공은 엄준(1885∼1919)과 최원득(1900∼1930), 송명진(미상)이다. 엄준은 ‘병영만세운동’을 주도한 인물로 비밀청년회 활동을 했다. 자신의 재산을 독립운동 자금으로 내놓고 비밀리에 독립선언서를 인쇄하고 태극기를 제작했다. 만세운동으로 동지들이 체포되자 선두에서 석방을 요구하다가 일제의 총탄에 순국했다. 1991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받았다. 그는 부모와 처자가 없다고 기록돼 관련 후손을 찾기가 쉽지 않다.

최원득도 병영 만세운동에 참가했다가 일본 경찰에 체포돼 태형을 받았다. 울산보훈지청과 병영삼일사봉제회는 1987년 중구 동동 삼일사당에 병영만세운동 독립운동가의 위패를 모신 이후 두 사람의 후손을 찾으려고 노력했다. 특히 최원득은 부인과 1남 1녀를 둔 것으로 알려졌다.

송명진 선생은 울산이나 부산의 3·1운동과 관련해 활동했다고 추정할 기록만 있어 정보 자체가 부족하다.

울산보훈지청 관계자는 “시간이 많이 지났지만, 먼 친척이라도 나타나길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문주수 병영삼일사봉제회 회장은 “어르신들의 넋이라도 후세의 위로를 받아야 할 텐데 안타깝다”고 말했다. 병영삼일사봉제회는 매년 4월 5일 위령제를 지내고 있다.

울산 박정훈 기자 jhp@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