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종합]경기도, 구제역 유입 방지 위해 방역 강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첨부용*경기도청


【수원=뉴시스】김동식 기자 = 지난 5일 충북 보은 젖소농가에서 구제역 확진 판정에 이어 6일 전북 정읍 한우농가에서도 구제역 의심증상 신고가 접수됨에 따라 경기도 내 유입을 막기 위한 방역이 대폭 강화된다.

남경필 경기지사는 6일 주요 도정 점검회의에서 "AI에 이어 구제역까지 겹치면 경기지역 축산 농가는 돌이킬 수 없는 큰 타격을 입게 된다"면서 "방역 취약농가를 대상으로 철저한 방역 대책을 수립해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도록 총력을 기울여 달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경기도는 이날 오후 3시 AI·구제역 재난안전대책본부 주재로 우제류 생산자 단체 긴급대책 회의를 열고 3031개 방역 취약농가에 공공 수의사 90명을 동원해 백신을 일괄접종하기로 했다.

방역 취약농가는 농장주가 고령이거나 소규모, 일반 사료 대신 음식물을 사료로 주는 농가다.

도는 또 시·군과 함께 도내 1만4295개 우제류 사육농가에 대한 백신 접종 여부를 확인하는 한편, 백신 접종률이 저조하고, 항체 형성률이 낮은 농가를 대상으로 지도점검을 한다.

경기지역에서 소는 94.6%, 돼지는 67.8%의 항체 형성률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소는 80% 이하, 돼지는 60% 이하가 집중 점검 대상이다.

도는 이 밖에도 1일 1회 담당 공무원이 사육 농가에 전화를 걸어 이상 유무를 파악하는 등의 임상 예찰 활동을 강화하고, 31개 시·군과 공동방제단을 운영한다. 공동방제단은 항체 형성율이 낮은 취약 농가를 중심으로 소독에 나선다.

부천, 안양 등 도내 도축장 10곳의 출입차량에 대한 방역도 강화한다.

앞서 도는 지난 5일 충북 보은 구제역 발생 직후 도내 우제류 가축 사육농가에 외부인 차량 금지, 소독 철저 등을 당부하는 문자를 발송하고, 24시간 신고 체계를 구축했다.

또 충북과 인접한 안성 공도면 젖소 700마리와 삼죽면 돼지 1200마리를 대상으로 긴급 예찰한 결과 특이사항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도 AI·구제역 재난안전대책본부 관계자는 "AI와 달리 구제역은 백신 접종을 추진했기 때문에 폭발적으로 퍼지지는 않을 것"이라며 "백신 접종이 빠졌는지를 집중적으로 살피고 충북과 인접한 안성, 이천, 평택 등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날 오후 6시부터 오는 8일 0시까지 30시간 동안 전국 축산농가와 도축장, 사료공장, 축산차량 등을 대상으로 일시 이동중지 명령을 내렸다.

dsk@newsis.com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