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징계?…"당내 영향력 없어"
새누리 쇄신 로드맵 발표
인명진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이 22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당 쇄신안을 발표하고 있다. 2017.1.22/뉴스1 © News1 송원영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이정호 기자 = 인명진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은 22일 인적청산에 대해 "국민들은 미흡하다고 할지 모르나 수백 통이 넘는 협박 문자, 집 앞에서의 시위를 이겨내고 강행한 결과"라고 밝혔다.
인 위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당사에 가진 기자회견을 통해 "박근혜 대통령은 새누리당에서 행사하는 영향력이 하나도 없는 상태"라며 "박 대통령에 대한 징계는 필요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다음은 기자들과의 일문일답.
-인적청산이 미흡하다는 의견이 있는데?
▶사람에 대한 쇄신은 물론 중요하다. 하지만 우리가 추구하는 인적청산은 당내 조직적 계파를 청산하는 것을 그 골자로 하고 있다. 새누리당에는 오랜 기간 뿌리를 가지고 있는 계파가 있다. 이와 같은 조직적 계파가 가장 큰 문제이며 이를 청산하는 것이 이번 인적청산의 골자라고 생각한다.
우리당의 윤리 규정은 본래 당원권 정지 1년이었다. 다른 당과 균형 맞춘다 하더라도 2년이다. 하지만 우리는 이번에 당원권 정지 기간을 그 보다 1년 더 긴 3년으로 개정했다. 이는 정말로 힘든 내용이었다. 격론 끝에 1표차로 통과했다. 나는 이것은 새누리당을 개혁하는 혁명적 사건이라고 생각한다. 1월 14일 윤리위 결정은 새누리당의 역사를 바꿨다. 현실적으로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었다고 생각한다.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징계와 관련해서는 이미 여러 차례 언급했다. 일단 현재 박근혜 대통령이 새누리당에 행사하는 영향력은 '하나도 없는' 상태이다. 인적청산의 대상은 우리당에 막강한 영향이 있는 사람을 겨냥했다. 따라서 박 대통령에 대한 징계는 필요가 없는 것이다.
그리고 박 대통령은 이미 최순실 게이트로 인해 비난에 휩싸이고 있으며 이 때문에 국회에서 탄핵 소추가 가결 되고, 헌재가 이를 심의 중이다.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나? 박 대통령이 잘못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미 국민이 가장 큰 책임을 이미 묻고 있는 것이고, 사법 적으로 시비가 가려지고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 속 당 차원의 징계가 무슨 의미가 있나. 이미 더 큰 징계가 진행되고 있는데 말이다. 대통령직에 대한 탄핵, 진행 중인 사법 절차가 모든 것을 다 포함하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향후 반기문 영입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인가? 최근 동생 반기상씨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하고 있는데 이는 현재 새누리당이 추진 중인 '쇄신 운동'과 맞지 않을 수도 있다.
▶반 총장 영입에 대해 우리당은 두 가지 원칙을 가지고 있다. 하나는 반 총장이 가지고 있는 정책, 철학, 가치가 새누리당과 맞아야 한다. 두 번째는 우리당이 실시하고 있는 “뼈를 깎는 이 개혁, 도덕성, 또한 깨끗한 정당이 되려는 것에 반 전 총장이 부합해야 한다. 앞으로 우리당은 이 두 가지 원칙에 따라서 영입 문제를 고민해 나갈 것이다.
-징벌적 손해배상 등 야당의 정책방향을 수용했다는 의견이 나올 것으로 예상되는데, 야당 정책을 수용했다고 봐도 되나?
▶야당 정책 수용했다기 보다는 국민들의 필요, 마음, 뜻을 수렴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야당이 주장했던 것이어도 국민을 위한 것이라면 주저할 까닭이 없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당 기구가 야당과 협상 필요한 사안이 있다면 협상을 해 나갈 것이다. 그리고 빠른 시일 내에 해낼 것이다. 그게 이상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우리는 반(反)재벌정당은 아니다. 다만 대기업이 가져야할 사회적 책임은 다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국민들의 희생을 통해 기업들이 오늘날 이만큼 성장한 것이다. 따라서 이제는 대기업이 국민에게 책임을 다해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대기업이 펼치고 있는 정책 중 국민경제에 도움이 안 되는 정책, 그 부분에 대해 반대한다. 다만 이는 기업 자체에 대해 반대하는 것은 아니다. 기업과 기업의 정책은 구분돼야 한다.
jh.lee@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