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사설] ‘트럼프발 금융 리스크’ 제거, 발등의 불이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취임과 함께 한국 경제가 본격적인 불확실성의 시대로 접어들었다. 이른바 ‘미스터 불확실성’으로 불리는 트럼프가 앞으로 어떤 정책을 펴느냐에 따라 우리 경제는 덩달아 춤을 출 수밖에 없는 처지다. 이를 입증이라도 하듯 미국 금리 인상 속도가 빨라지고 있는 가운데 올 들어 국내 외환시장은 연일 요동치고 있다. 이달 2~19일 원·달러 환율의 전일 대비 변동폭은 8.6원으로 지난해 12월(4.0원)보다 두 배 이상으로 커졌다. 미국 달러 가치는 트럼프 당선자가 대선에서 승리한 뒤 4% 가까이 올랐다. 2014년과 비교하면 약 25% 상승했다. 어제 서울 외환시장에서는 재닛 옐런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의 미국 경제가 과열이 아니라는 발언이 나오면서 오히려 원·달러 환율이 8.4원 내렸다. 당분간 환율이 계속 큰 폭으로 움직일 것이라는 점은 자명하다.

트럼프는 지난 16일 대통령의 달러 가치 불개입 관행을 깨고 “달러 가치가 너무 세다”고 말했다. 그러자 두 달 넘게 이어지던 강 달러 기세가 즉각 꺾이면서 달러 가치가 전 거래일보다 1%가량 급락했다. 원화와 일본 엔화는 강세로 돌아섰고, 안전자산인 국제 금값, 국채 가격도 일제히 올랐다. 트럼프의 말 한마디에 금융시장이 얼마나 휘둘리는지를 단적으로 보여 주는 사례다. 외환시장은 트럼프의 정책이 구체화되기 전까지는 불확실성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과거 외환시장은 예측 가능성이 커 완만하게 조정됐지만 앞으로 미국의 필요성에 따라 널뛸 확률이 더욱 높아졌다. 오는 3월 예정된 브렉시트 협상과 4월 프랑스 대선 등도 만만찮은 변수다.

정부는 우선 트럼프 대통령 취임과 함께 나타날 미국 정부의 정책 기조 변화를 면밀히 감시해야 할 것이다. 단기적으로는 범정부 비상경제회의를 정례화해 금융시장 모니터링을 한층 강화하고, 컨틴전시 플랜이 제때 가동될 수 있도록 두 눈을 부릅떠야 한다.

중국의 공세에 대해서도 꼼꼼한 대응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중국은 공식적으로 “사드 보복은 없다”고 밝히고 있지만 양국 관계가 지금처럼 계속 삐걱대면 오는 10월 만기 예정인 한·중 통화 스와프 연장도 보장할 수 없는 노릇이다. 더욱이 미·중 통상 전쟁이 현실화하면 그에 따른 피해를 우리가 고스란히 떠안아야 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 중국의 미국 수출 길이 막히면 중국에 부품과 중간재 등을 공급하는 한국 기업이 직격탄을 맞을 수밖에 없다는 점을 잊어선 안 된다.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