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명진 “인적 청산 금주 매듭” 고삐 / 반발 의식해 당원권 정지 유력 / 대통령 징계 결정은 일단 유보 / 황 대행 “인, 어려운 결단” 지원
당 윤리위는 16일 첫 회의 후 세 의원에 대해 “국민적 공분을 일으킨 부적절한 언행이나 당원으로서 부적절한 처신에 대해 책임을 묻는 것”이라며 징계 심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20대 총선 공천 과정에서 불거진 윤 의원의 ‘막말’ 파동, 친박계 방해로 인한 상임전국위 무산 등에 대한 책임을 묻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왼쪽 세번째)이 16일 오후 서울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새누리당 인명진 비상대책위원장(왼쪽 두번째), 김문수 비대위원(왼쪽), 정우택 원내대표와 만찬을 하기에 앞서 환담을 나누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
징계 수위는 윤리위에서 결정할 수 있는 ‘당원권 정지’가 유력하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당원권 정지를 당하면 당협위원장에서 해임되고 의원총회도 참석하지 못하는 등 사실상 출당에 따른 ‘무소속’ 의원이 되는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반면 ‘제명’과 ‘탈당 권유’는 의원총회에서 재적 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현실화가 쉽지 않다. 당이 이날 상임전국위원회에서 당원권 정지 기간을 현행 1년 이하에서 3년 이하로 연장하는 안을 의결한 것은 인적청산을 위한 사전정지작업으로 받아들여진다. 윤리위가 당원권 정지를 의결하면 친박 핵심 인사들은 3년 뒤 21대 총선 공천신청이 어려워진다. 상임전국위는 공개모집을 통해 일반인 비대위원 3명을 추가 인선했다. 인 위원장은 오전 비대위·주요당직자회의에서 “(비대위 체제가) 제대로 모습을 갖추어 가는데 이번 주 안에 소위 ‘인적쇄신’을 매듭지어야 한다”고 압박수위를 끌어올렸다. 그의 강공에 서 의원 측은 “불법으로 구성된 비대위가 결정한 내용”이라고 반발했다.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새누리 당사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 및 주요당직자회의에서 인명진 비대위원장과 정우택 원내대표가 대화를 나누고 있다. 남정탁 기자 |
윤리위는 또 박희태 전 국회의장, 이상득·이병석 전 국회부의장, 현기환 전 청와대 정무수석이 현재 검찰이 기소했거나 재판 중이라는 이유로 당원권을 정지했다. 추가징계도 착수했는데 20대 총선 공천관리위원장이었던 이한구 전 의원도 포함됐다. 공천 논란으로 총선 패배를 자초한 책임을 묻겠다는 것이다. 전임 이진곤 윤리위가 추진했던 박근혜 대통령 징계는 탄핵심판이 진행 중인 것을 고려해 보류했다.
이도형 기자 scope@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