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말랄라 등 노벨상수상자, 아웅산 수치 정부 '로힝야 학살' 비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데스몬드 투투 주교, 말랄라 유사프자이 등 노벨상 수상자 20여 명과 정치인, 인권운동가 등이 아웅산 수치 여사가 이끄는 미얀마 정부의 로힝야족 '학살'을 비판하는 공개서한을 유엔안전보장이사회에 제출했습니다.

수치 여사는 미얀마 민주화 운동을 이끌어 노벨평화상을 수상했고, 2015년 말 총선 후 들어선 현 정부를 실질적으로 이끌고 있습니다.

노벨상 수상자 등은 서한에서 미얀마 정부가 소수 민족인 로힝야족에게 일반 국민과 동등한 권리를 부여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최근 발생한 '인도주의적 위기' 상황에서 로힝야족 3만여 명이 집을 잃고 난민으로 전락했다는 겁니다.

미얀마 서부 라카인 주에서는 지난 10월 일부 로힝야족들이 가담한 것으로 보이는 경찰서 공격 사건으로 경찰관 9명이 숨졌습니다.

이에 대해 경찰이 무력 대응하던 과정에서 최소 86명이 숨졌습니다.

로힝야족들은 경찰을 피해 이웃 방글라데시 쪽으로 피난했지만 방글라데시는 국경을 봉쇄하고 이들의 입국을 막았습니다.

서한을 보낸 노벨상 수상자 등은 이 사태는 1994년 르완다 학살과 수단 서부 다르푸르 지역 인종청소를 떠올린다며 "지금 행동하지 않으면 로힝야족들이 총에 맞아 죽거나 굶어 숨지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10월 폭력 사태에 로힝야족들이 가담했을 수 있지만, 그렇더라도 경찰의 대응이 지나치다고 비판했습니다.

용의자들을 체포해 재판하는 것과 수많은 민간인을 향해 헬리콥터로 총격을 가하고, 여성을 성폭행하며, 어린아이들을 불 속으로 집어 던지는 것은 다른 문제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들은 유엔안보리에 '로힝야족 학살'을 긴급 안건으로 상정할 것을 요청하고 미얀마 정부에도 로힝야족 구호 활동을 막는 모든 제약을 풀어달라고 요구했습니다.

방글라데시에 뿌리를 두고 있는 로힝야족은 이슬람교도로 불교도가 주류인 미얀마에서 배척받고, 방글라데시도 외면해 '지구 위의 가장 박해받는 민족'으로 불립니다.

노벨평화상 수상자이면서 미얀마 민주화를 이끈 수치 여사조차 로힝야족 문제 해결을 외면해 국제사회는 수치 여사에 큰 실망을 표하고 있습니다.

※ ⓒ SBS & SBS콘텐츠허브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 [스페셜] 박근혜 대통령 - 최순실 게이트의 모든 것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