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美금리인상]韓美 상반된 금리정책에 채권시장 소용돌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물가연동국채, 美 '수요폭발' 韓 '시들'…금리역전 우려하는 시장]

미국이 기준금리 인상을 결정하면서 한국의 내년 금리전망에도 관심이 몰린다. 15일 열린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기준금리 동결이 결정됐으나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압박이 계속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국채나 회사채는 물론 물가연동채권 등 투자상품의 수익률도 미국과 반대로 갈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날 증권업계에 따르면 채권 애널리스트들과 이코노미스트들은 "당분간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동결 기조는 유지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백윤민 교보증권 연구원은 "내부적으로 국내 가계부채 증가세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며 "대외적으로 미국 통화정책 정상화 및 신정부 정책 방향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이라는 점에서 통화정책에 변화를 주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도 "원/달러 환율 상승과 미국의 빠른 긴축으로 기준금리 동결에 대한 명분은 더욱 강화될 것"이라며 "국내에선 추가금리 인하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컸으나 미국의 금리행보로인해 오히려 고민이 줄어든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기준금리와 관련해 미국은 점진적인 인상을 택했고 한국은 당분간 현 수준을 유지하는 쪽으로 방향을 정했기 때문에 양국 채권투자와 관련한 방향이 크게 엇갈릴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일단 물가연동국채가 그렇다. 물가연동국채는 채권이자에 물가상승률을 더해 수익을 제공하는 상품이다.

미국의 경우 경기회복, 국제유가를 비롯한 원자재가격 상승, 금리인상 효과 등 3가지 호재가 더해지며 국채 10년물과 물가연동국채(TIPs)간 수익률차이는 2014년 9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물가연동국채를 찾는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난 배경이다. 미국은 올해 물가 상승률이 2%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한국의 물가연동국채는 사정이 다르다. 저금리 기조가 장기화할 조짐에 경제 성장률까지 낮아지면서 물가를 올릴만한 요인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KDI는 이달 6일 발간한 보고서에서 "내년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대 초반(1.1~1.4%)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국내 경기 둔화와 미국의 정책 불확실성 등 하방위험으로 대내외 수요가 약화되면서 물가상승세를 제약할 것이란 분석이다. 앞서 금융연구원도 내년 물가상승률이 1.3%를 나타낼 것으로 점쳤다.

강남의 거액자산가들은 한 때 한국 물가연동국채에 뭉칫돈을 넣었으나 최근에는 이를 처분하고 미국의 물가연동국채나 연관펀드를 사려는 움직임을 보인다.

한 증권사 PB(프라이빗뱅커)는 "미국 대통령선거 이후 불안감이 커진 고객들의 문의가 이어지는 상황"이라며 "시장 변동성이 확대된 상황에서 미국 물가연동국채가 안전한 투자상품으로 인식되고 있다"고 말했다.

개별상품 뿐 아니라 채권시장 전반에 큰 변화가 있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한국이 금리를 현 수준으로 유지하는 동안 미국이 계속해서 금리를 올릴 경우 한-미 채권금리 역전이 벌어지기 때문이다.

미국의 기준금리는 현재 0.50%∼0.75%다. 내년에 0.25% 포인트씩 3차례 더 오르면 1.25∼1.50%로 높아진다. 이에 반해 한국의 기준금리는 현재 1.25% 수준에 머무른다. 투자자들 입장에서는 한국보다 미국 국채에 투자하는 것이 유리해진다는 얘기다.

윤여삼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내년 2분기 초까지는 채권 투자에 주의가 필요하다"며 "미국 10년물 금리가 2.8%까지 올라갈 경우 국내 10년 금리 역시 추가로 상향조정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연간 전망에서 국고채 10년물의 상단 금리를 2.35%로 제시했지만 조만간 달성할 가능성이 커졌다"며 "연초에는 기관들의 자금집행이 예정돼 있지만 투자는 신중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한국 국채 3년물 지표금리가 전거래일보다 5.3bp(1bp=0.01%p) 오른 1.697%를 기록한 것도 이런 우려가 반영된 것이라는 지적이다.

반준환 기자 abcd@mt.co.kr, 정인지 기자 injee@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