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지문 인식' 스마트폰 보안인증 표준 부상?

0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A 보고서 "올해 스마트폰 지문인식 45% 증가"

연합뉴스

아이폰SE의 지문인식 기능


(서울=연합뉴스) 고상민 기자 = 지문 인식 센서가 내장된 스마트폰이 올해에도 부쩍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미국 시장조사기관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는 올해 '지문 인식' 스마트폰 시장 규모가 작년보다 45% 급증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20일 밝혔다.

지문 인식은 최근 스마트폰 보안인증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다.

관련 기술이 개발된 건 일반 휴대전화인 '피처폰' 시절이었으나 '잠금화면 해제' 등 기초적인 수준에 그쳤다.

오늘날 스마트폰에서 쓰이는 지문 인식 기술을 처음 적용한 건 국내 제조사 팬택이었다는 게 업계 정설이다. 베가 LTE-A에서 세계 최초로 선보였는데, 이후 2013년 애플이 아이폰5s에 전격 도입하면서 '글로벌 표준'이 됐다.

삼성전자[005930]는 1년 후인 2014년 출시한 갤럭시S5 때부터 최근 갤럭시S7까지 프리미엄 모델에 줄곧 지문인식 센서를 탑재하고 있다. LG전자[066570]는 작년 10월 내놓은 하반기 프리미엄 제품 V10에 처음 도입한 데 이어 지난달 출시한 G5에도 지문인식 칩을 넣었다. 화웨이와 샤오미 등 중국 업체의 최신 프리미엄 모델 역시 마찬가지다.

지문 인증을 기반으로 한 삼성페이나 안드로이드페이 등 모바일 간편결제 시장의 확대는 지문 인식 스마트폰의 표준화를 더욱 부채질하고 있다. 이에 지문 인식 센서 시장도 때아닌 호황을 누리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IHS에 따르면 작년 지문 인식 센서칩 시장 규모(매출액)는 약 6억3천만 달러로 전년의 3배 수준으로 늘었다.

시장 1위 업체는 스웨덴의 FPC라는 업체로, 매출 점유율이 작년에 50%를 넘어섰다. 화웨이, 메이주, 레노버, 쿨패드 등 중국 업체들에 센서 칩을 납품하면서 '시냅티스'를 제치고 업계 정상에 올라섰다.

이 회사는 최근 스마트폰 덮개유리 아래에 지문센서를 완전히 삽입하는 신기술을 공개, 올해 하반기에는 이 기술을 활용한 프리미엄 스마트폰들이 속속 출시될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 관계자는 "홍채나 안면 등 생체를 인식하는 기술이 한때 주목받기는 했으나 지문 인식을 대체할 보안인증 수단은 당장 없어 보인다"며 "관련 시장 규모는 더 커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gorious@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연합뉴스

최초로 지문인식 기능이 들어간 스마트폰 '베가 LTE-A'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