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03 (목)

애플 "중국 정부가 소스코드 요구했지만 거부했다"

0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합뉴스

애플 법무총책임자 브루스 시웰이 19일(현지시간) 미국 하원 에너지 상업 소위원회의 청문회에 출석해 증언하고 있다. (AP=연합뉴스) Apple Inc. General Counsel Bruce Sewell, testifies on Capitol Hill in Washington, Tuesday, April 19, 2016, before a House Oversight and Investigations subcommittee hearing on deciphering the debate over encryption. (AP Photo/Manuel Balce Ceneta)


(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임화섭 특파원 = 애플이 중국 정부로부터 프로그램의 소스코드 제공을 요구받았으나 이를 거부했다고 이 회사 법무총책임자 브루스 시웰이 19일(현지시간) 미국 의회 청문회에서 증언했다.

AFP통신 글로벌 언론매체들에 따르면 시웰은 이날 하원 에너지·상업 소위원회에서 "우리는 중국 정부에 소스 코드를 제공하지 않았다"며 이렇게 밝히고 중국 당국이 소스 코드를 넘기라고 요구한 것이 최근 2년 내였다고 설명했다.

시웰은 이 청문회에 먼저 나온 인디애나 주 경찰 관계자가 일부 언론의 추측 보도를 근거로 애플이 중국 정부에 몰래 협조하고 있다는 주장을 펴자 이를 정면으로 반박하면서 이렇게 밝혔다.

시웰은 애플이 아이폰 등 자사 제품의 보안을 강화한 데 대해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우리, 그리고 기술 업계가 알고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강한 암호화를 쓰는 것"이라며 "오늘날 암호화는 우리 사이버보안 인프라의 근간이며 점점 심해지는 악의적 공격을 방어하는 가장 좋은 수단"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고의로 프로그램에 '뒷문'(백도어·비정상적 방식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설계자가 고의로 넣은 보안 취약점)을 넣는 등 보안을 약화시킬 경우 사용자 전체가 피해자가 된다고 설명했다.

애플은 2014년부터 미국 법무부 등 수사당국의 아이폰 보안해제 요구를 거부해 왔다.

미국 법무부와 애플 양측은 이 문제를 놓고 뉴욕 주와 매사추세츠 주에서 법정 다툼을 벌이고 있으며, 두 곳 법원에서 서로 엇갈리는 결정이 나옴에 따라 각각 불리한 결정에 대해 항고한 상태다.

이에 앞서 법무부 산하 연방수사국(FBI) 관계자들은 캘리포니아 주 샌버너디노 총기난사 사건과 관련해 테러범이 쓰던 iOS 9 탑재 아이폰 5c의 잠금 해제 요청을 했다가 지난달 말에 이를 철회했다.

당시 애플은 아이폰의 보안을 우회하는 '백도어'(뒷문)를 만드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고 주장하면서 FBI에 맞섰으나, FBI는 "애플의 도움 없이 제3자의 도움을 받아 잠금 해제에 성공했다"며 소송을 취하했다.

solatido@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