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이어 5월 2일부터 시행
총선 전 미뤄온 물량 쏟아지면
입지 따라 양극화 심화할 듯
매매ㆍ분양시장 전반적 위축 전망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몇 년 간 분양 물량이 쏟아지면서 새 아파트 선호가 강해 기존 주택 매매가는 계속 하락세인데 5월부터는 더 위축될 수밖에 없을 겁니다.” (대구 한 중개업소 사장)
대출 규제의 지방 확대가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지방 부동산시장에선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기존 주택시장은 위축을 피할 수 없고 분양 시장은 입지 좋은 곳만 잘되는 양극화가 뚜렷해질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정부가 수도권과 3개월의 시간 차를 두고 지방 규제를 예고했음에도 타격은 적지 않을 거란 얘기다.
수도권 규제 이후 주택거래량과 집값이 하락하는 등 규제 영향이 예상보다 강력하자 건설업계는 지방 규제를 미뤄달라고 지속적으로 요구해 왔지만, 최근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예정대로 5월 지방으로 새 제도를 확대할 것이며 지방도 큰 충격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시장의 이상기류는 이미 감지되고 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방 아파트 매매가격은 줄곧 상승세를 유지하다 올해 2월 보합이 됐고 지난달에는 하락세(-0.01%)로 돌아섰다.
특히 5대 광역시 중에는 대구의 하락세가 뚜렷하다. 지난해 가을만 해도 매달 1% 가까운 상승세를 보였던 집값이 올 들어 1월 -0.14%, 2월 -0.20%, 3월 -0.24% 등 점점 마이너스 폭을 키우고 있다. 내달 대출규제가 본격 시행되면 집값 하락폭은 더 커질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김규정 NH투자증권 부동산전문위원은 “규제 예고가 됐어도 전국적으로 제도가 확대되는 변곡점이라 심리위축은 불가피하다”며 “매매, 분양시장 모두 전반적으로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박합수 KB국민은행 도곡스타PB센터 수석부동산 전문위원 역시 “지방의 기존 주택 매매시장은 지금껏 대출규제에서 자유로웠던 만큼 대출 규제 강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여기에 수년간 지속된 공급 여파로 올해 입주물량이 확대된 것도 집값 상승을 억제하는 악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 대구는 지방 중 가장 많은 입주물량(2만6,503가구)이 쏟아지고 충남(2만1,862가구), 경남(1만9,537가구), 부산(1만2,331가구) 등도 1만 가구 이상 집들이가 예정돼 있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주택시장 불확실성에, 넘치는 공급 및 입주물량까지 맞물리는 곳에서 가격 조정세가 심하게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강아름 기자 saram@hankookilbo.com
게티이미지뱅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