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與, 공천 종료 앞두고 '야당·국회 심판론' 프레임 전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무성 대표, 자신의 공천 확정된 이튿날 바로 내홍 정국 돌파 시도

야권의 '정권 심판론'에 맞서 '야당·국회 심판론' 맞대응 본격 시작

[이데일리 김진우 강신우 원다연 기자] 새누리당이 4·13 총선 공천 마무리를 앞두고 ‘야당·국회 심판론’으로 선거 프레임을 전환하기 위해 정책공약집을 발표하고 캐치프레이즈(선전 표어)를 제시하며 ‘큰 그림’ 그리기에 나섰다.

이데일리

새누리당은 21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앞으로! 하나로! 함께 누리는 미래로!’라는 제목의 정책공약집을 배포했다. 총 3장으로 구성된 책자는 △일자리 중심성장과 함께하는 일하는 즐거움 △우리집 행복 맞춤과 행복지수 100% 도전 △미래 변화의 중심·기본과 원칙의 힘·골고루 잘 사는 지역발전 등을 골자로 한 세부 공약을 제시했다.

최고위 회의장 뒤편에는 2012년 19대 총선 때부터 새누리당을 상징하는 색깔인 붉은색 배경에 흰 글씨로 ‘뛰어라 국회야, 잠자는 국회에서 일하는 국회로’라는 문구가 적힌 현수막이 걸렸다.

이번주 공천 작업을 마무리하는 것과 동시에 이번 총선을 정책 선거로 치르기 위해 프레임을 전환하려는 의도다. 청와대와 여당은 야권의 ‘정권 심판론’에 맞서 ‘야당·국회 심판론’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김무성 대표 등 최고위원단이 20일 자신들의 공천을 확정하고 22일 유승민 전 원내대표 공천을 최종 결정하기로 하면서 ‘공천 정국’에서 빠져나오려는 의도로도 읽힌다. 본격적인 총선 정국에 돌입하겠다는 것이다.

김 대표는 최고위 회의에서 청년실업 문제를 언급하면서 “청년의 절망과 한숨 앞에서 정치권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한심하고 반성하게 된다”고 말했다.

정치권이란 표현을 썼지만 노동 관계법 입법화에 반대하고 있는 야당을 겨냥, 책임론을 제기한 것으로 보인다. 김 대표가 자신이 주재한 정례회의에서 정책 관련 모두발언을 한 것은 지난달 17일 이후 처음이다.

원유철 원내대표는 “청년들이 원하는 일자리를 만들어줘야만 청년 일자리가 해소된다”며 “청년 일자리뿐만 아니라 새누리당은 중·장년 일자리도 만드는 노동개혁 4법의 절박성을 입이 닳도록 야당에 요구했지만 야당은 도대체 얼마나 더 많은 청년들을 길거리에 내몰아야 이 법안을 처리하려는지 모르겠다”고 김 대표를 거들었다.

이날 최고위 회의에는 ‘청년독립’ 공약을 제안한 청년기업가 이진호(28) 씨가 초청돼 김 대표에 이어 발언자로 나섰다. 그는 “새누리당이 중소기업 지원 말말하는 기존 포퓰리즘 정책을 넘어서 저소득 청년 지원 정책을 실행해 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