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들어서만 3번의 매각 실패로 경쟁입찰을 포기, 1대1 수의계약으로 전환한 쌍용건설 M&A(인수·합병)가 입찰 방식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기로 했다. 쌍용건설 지분매각을 주도하는 공적자금관리위원회(이하 공자위) 내부에서 수의계약 방식에 문제를 제기한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2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공자위는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와 채권단이 보유한 쌍용건설 지분(50.07%) 매각을 수의계약과 경쟁입찰 방식 등을 모두 열어놓고 검토중이다.
쌍용건설 지분매각은 올들어 3번의 입찰을 시도했으나 2곳 이상 인수후보자가 나타나지 않아 모두 유찰됐다. 이 때문에 경쟁입찰을 중단하고 인수희망자를 대상으로 1대1로 협상하는 수의계약 방식으로 전환됐다.
이같은 공자위의 태도 변화를 두고 여러가지 해석이 나온다. 우선 공자위 내부 절차를 거쳐 '도장'을 받은 게 아니어서 수의계약이 최종 확정된 단계는 아니라는 원론적 표현일 수 있다.
유력 인수후보자인 M+W와의 협상테이블을 유리하게 끌고가려는 전략이란 분석도 가능하다. 독일계 엔지니어링업체 M+W는 3번 모두 입찰에 참여했으나 후보자들의 잦은 중도 포기로 유효경쟁이 성립되지 못해 번번이 타의로 고배를 마셔야 했을 만큼 수의계약 전환 이후 유력한 인수 후보자로 떠올랐다.
매각 관계자는 "공자위가 경쟁입찰을 매번 실패한 불리한 상황에서 홀로 인수 의지를 불태웠던 M+W와 수의계약을 진행해야 한다는 상황에 부담을 느낄 수 있다"며 "입찰 자체에 대한 재검토뿐 아니라 제3자를 통한 유상증자로 쌍용건설의 자본금을 확충하는 방법 등 모든 것을 원점에서 재검토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창간기획] 한국의 슈퍼리치들
[book]스무살에 배웠더라면 변했을 것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