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쌍용건설 M&A방식 "원점부터 재검토"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공자위 "1대1 수의계약 미확정…가능성 열고 모두 살펴"]

Money Today

 올 들어서만 3번의 매각 실패로 경쟁입찰을 포기, 1대1 수의계약으로 전환한 쌍용건설 M&A(인수·합병)가 입찰 방식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기로 했다. 쌍용건설 지분매각을 주도하는 공적자금관리위원회(이하 공자위) 내부에서 수의계약 방식에 문제를 제기한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2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공자위는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와 채권단이 보유한 쌍용건설 지분(50.07%) 매각을 수의계약과 경쟁입찰 방식 등을 모두 열어놓고 검토중이다.

쌍용건설 지분매각은 올들어 3번의 입찰을 시도했으나 2곳 이상 인수후보자가 나타나지 않아 모두 유찰됐다. 이 때문에 경쟁입찰을 중단하고 인수희망자를 대상으로 1대1로 협상하는 수의계약 방식으로 전환됐다.

 공자위 쌍용건설 매각 담당자는 "법적으로 수의계약 매각이 가능해진 것은 맞지만 내부 위원회를 통과해야 확정되는 구조고 여러 검토사안 중 하나일 뿐"이라며 "현재로선 수의계약을 포함해 경쟁입찰을 한차례 더 실시할지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둔 채 살피고 있으며 다음주 안에 최선의 방식을 선택할 것"이라고 밝혔다. 당초 수의계약 전환이 확정된 것으로 알려진 점을 감안하면 공자위 입장이 한발 물러난 셈이다.

 이같은 공자위의 태도 변화를 두고 여러가지 해석이 나온다. 우선 공자위 내부 절차를 거쳐 '도장'을 받은 게 아니어서 수의계약이 최종 확정된 단계는 아니라는 원론적 표현일 수 있다.

 수의계약 방식으로 진행할 경우 지분 매각가치의 적정성을 확보했는지에 대한 비판을 받을 여지가 있어 최대한 경쟁입찰로 끌고가야 한다는 내부 반론이 제기됐을 것이란 추측도 제기된다. 금융위원회 소속인 공자위는 정부뿐 아니라 경제·법률·회계분야의 민간전문가 등으로 구성돼 있다. 따라서 수의계약 전환을 추진하기 전 일부 위원의 의견을 정확히 취합하지 못해 생긴 결과라는 설명이다.

 유력 인수후보자인 M+W와의 협상테이블을 유리하게 끌고가려는 전략이란 분석도 가능하다. 독일계 엔지니어링업체 M+W는 3번 모두 입찰에 참여했으나 후보자들의 잦은 중도 포기로 유효경쟁이 성립되지 못해 번번이 타의로 고배를 마셔야 했을 만큼 수의계약 전환 이후 유력한 인수 후보자로 떠올랐다.

 매각 관계자는 "공자위가 경쟁입찰을 매번 실패한 불리한 상황에서 홀로 인수 의지를 불태웠던 M+W와 수의계약을 진행해야 한다는 상황에 부담을 느낄 수 있다"며 "입찰 자체에 대한 재검토뿐 아니라 제3자를 통한 유상증자로 쌍용건설의 자본금을 확충하는 방법 등 모든 것을 원점에서 재검토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창간기획] 한국의 슈퍼리치들
[book]스무살에 배웠더라면 변했을 것들

전병윤기자 byjeon@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