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4 (화)

서민들 "절세상품 눈씻고 찾아봐도 없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금저축 외 마땅한 절세상품 없어..장마저축 등 그나마도 상품도 없어질 판]

서민들의 재테크가 무너지고 있다. 가장 안전한 수단으로 꼽히는 예금은 물가상승을 고려한 금리가 사실상 제로 수준이어서 자산 증식에 기여하지 못한다. 더구나 정책금리(3.25%)가 8일로 1년째 동결된 데다 글로벌 경기 둔화로 인해 향후 인하 가능성까지 있어 은행 금리의 상향 조정을 기대하기 더 어려워졌다.

펀드도 증시 조정과 함께 수익률이 신통치 못하다. 부동산시장은 침체가 지속돼 빚내서 주택을 마련한 서민 가계의 부담만 키우고 있다.

서민들에게 절세상품도 마땅치 않다. 오히려 축소되는 추세다. 이레저레 서민들에게는 재테크 수단 시대다.

◇물가연동채권은 그림의 떡= 최근 증시가 주춤하자 거액 자산가들이 물가연동채권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인플레이션을 방어할 수 있는 데다 분리과세가 가능해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들에게 절세 상품으로 각광을 받는다. 하지만 금융소득이 많지 않은 서민들에게 분리 과세의 매력은 떨어진다.

현재 서민들이 가입할 수 있는 절세상품은 연금저축 정도다. 연금저축은 분기당 불입 한도 300만원(연금 적립기간 10년 이상), 연간 불입액의 100% 공제(연 400만원 한도, 퇴직연금 불입액포함)혜택이 있다. 1년에 400만원을 불입하는 경우 26만~154만원의 절세효과를 볼 수 있다. 소득세율이 높을수록 연금저축의 절세효과도 커진다.

서민용 절세상품은 갈수록 줄어드는 추세다. 대표적인 게 장기주택마련저축(이하 장마저축)으로 내년부터 과세 상품으로 전환된다. 금융계는 당국에 금융상품에 대한 세제혜택 확대를 요청하고 있으나 세수 축소 우려 탓에 거의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정부가 올해 중점과제로 예고한 재산형성펀드(이하 재형펀드) 도입 안은 관련 법안이 발의되지 않아 시행 시기가 불투명하다. 재형펀드는 연봉 5000만원이하 개인이 10년 이상 가입하면 연 240만원의 소득공제 혜택을 주는 상품이다.

업계 관계자는 "서민들은 투자는 물론 절세를 통해 재산을 증식하기가 쉽지 않다"며 "최소한 서민가계 안정 차원에서 절세 상품을 늘리는 방안을 적극 고민해 볼 때"라고 말했다.

◇주식형펀드, 절세효과 크지만… = 국내 주식형펀드는 증시 호황기에 탁월한 절세상품으로 꼽힌다. 국내 주식형펀드는 이익 대부분이 주식 매매 차익과 평가 차익으로 이뤄지는데 현행 세법 상 이들 이익은 직접 투자와 마찬가지로 비과세된다. 일반 예금 이자에 15.4%의 소득세가 부과되는 것을 고려하면 절세 효과가 작지 않다.

하지만 수익률이 문제다. 유럽발 재정 위기 등으로 증시가 살아나지 못하는 상황에서 절세효과를 피부로 느끼기 어렵다. 실제 지난 7일 기준 국내 주식형펀드 1년 평균 수익률은 -17.4%로, 원금의 4분의 1가량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금융투자회사 관계자는 "국내 주식형펀드가 절세효과가 있다고 하지만 수익률 변동으로 인해 완벽한 절세효과를 얻기 쉽지 않다"며 "원금은 손실을 보면서 세혜택을 받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핫이슈]'6월 쇼크' 국내경제 영향은?
[book]어떻게 원하는 것을 얻는가

김성호기자 shkim03@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