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국회법 재의 앞둔 與 폭풍전야…친박 '플랜B' 꺼내나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기전대·탈당·당무거부 등 다양한 집단행동 카드 검토

朴대통령, 개별 의원 설득 등으로 직접 나설 수도

뉴스1

지난 3일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인사를 나누는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왼쪽)와 이병기 대통령 비서실장. © News1 허경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서상현 기자 = 대통령과 집권 여당 2인자가 부딪친 이른바 '유승민 사태'의 도화선이 됐던 '국회법 개정안'(정부 행정입법에 대한 국회 통제강화법안)의 국회 재의(再議) 절차가 하루 앞으로 다가온 5일 새누리당에 팽팽한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특히 박근혜 대통령의 국무회의 발언 이후 유승민 원내대표의 사퇴를 공개 압박하고 있는 친박(親박근혜)계가 유 원내대표에게 6일 본회의를 사퇴 시한으로 제시하고 있어, 6일을 기점으로 유 원내대표의 거취를 놓고 당이 다시 급격한 혼란에 빠질 공산이 크다.

유 원내대표가 7월 추경 국회의 정상 가동과 국회 운영위원회 소집, 각종 특위 연장이나 신설, 공적연금 특위 구성 등 직무를 정상적으로 소화하면서 따로 출구전략을 세우지 않고 있는 모습이기 때문이다.

이에 10여명으로 분류되는 친박계 핵심들이 의원들과 개별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정황이 포착되는 등 전운이 몰려오는 기운이 감지된다.

친박계 비례대표와, 든든한 '공천방패'였던 이완구 총리를 잃은 충청권 의원들이 '유승민 사퇴 촉구' 성명서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지는 등 친박계발(發) 집단행동이 가시권에 들어왔다. 김무성 대표도 부산 의원들과 만나 유 원내대표의 사퇴를 언급했다는 소문도 들린다.

특히 충청권에선 원내지도부 입성을 바라는 중진 의원이 앞장서고, 정치적 바람막이를 원하는 충청권 의원들이 암묵적으로 동의하면서 친박계의 거사에 주력부대로 공조하는 모양새다.

일각에선 "친박계가 '최경환 당대표-윤상현 원내대표' 투톱체제로 정치생명을 도모하고 내년 총선을 박근혜 슬로건으로 가려는 것 아니냐"는 섣부른 관측도 내놓고 있다.

청와대와 친박계는 박근혜 대통령이 직접 나서는 방안과 친박계가 주도하는 다양한 액션플랜을 검토하고, 여론과 당내 상황, 보수진영 기류를 살펴 실행에 나설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친박의 수…의총 표대결, 조기 전대, 탈당, 당무 거부 등

현재까지는 표대결 결과를 장담할 수 없어 '보류' 상태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지만 유 원내대표의 재신임을 묻기 위한 의원총회를 소집해 양측이 표대결을 벌이는 방안도 살아 있기는 하다.

친박은 의원총회 소집 요건(소속 의원의 10%)인 '16인 서명'을 완료하고 소집요구서를 제출하지는 않은 채 손에 쥐고 있다. 친박계의 결집 정도와 중립지대 의원들에 대한 설득, 김무성 대표의 의중 등의 변수에 따라 승산이 있다고 판단되면 친박계가 가장 분명하게 유 원내대표를 끌어내릴 수 있는 수단이 의총이다.

의총 소집을 통한 정면 대결이 불가하다면 강력한 주변 압박을 통한 사퇴 분위기 조성도 가능하다. '분당 및 탈당' 엄포도 하나의 수로 읽힌다.

집권 여당의 분열로 내년 총선을 장담하기 어렵다고 압박할 때 비박계 중립지대 의원, 특히 수도권 의원들의 불안 심리는 커진다. 박 대통령도 이회창 한나라당 총재의 독선적 당 운영을 지적하며 탈당한 전력이 있다.

실제 친박계 몇몇 의원들은 탈당이나 분당이 이뤄질 경우 뜻을 같이 할 의원의 숫자가 어느 정도인지 여러 루트로 확인하고 있다는 정황도 있다.

하지만 실제 탈당을 결행한다면 동조자가 없이는 과거 '친박연대'처럼 정치권의 천덕꾸러기가 될 수 있고, 대통령이 군소 야당에 속하게 돼 국정 운영도 녹록치 않게 된다.

친박계 최고위원들의 당무 거부로 집단지도체제를 '멈춤 상태'로 유지하는 장기전도 하나의 전략으로 거론된다. '유 원내대표만 사퇴하면 끝날 일'이라는 여론전을 펼치면서 유 원내대표를 '사태의 근원'으로 더욱 몰아붙인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이미 김 대표와 유 원내대표가 예측하고 있고, 만약 일부 최고위원들이 없이도 'K-Y라인'이 정상 가동되면 여론은 친박계가 예측과 것과 다르게 흘러갈 위험성도 크다. 오히려 메르스, 가뭄 등 국정 현안이 산적한 상태에서 친박계 최고위원들의 섣부른 당무 거부는 역풍에 시달릴 수 있다.

최고위원들의 전격 사퇴에 따른 집단지도체제 붕괴 전략도 이미 잘 알려져 있다. 당을 일시적 비상대책위원회로 이끈 뒤 조기 전당대회를 실시해 친박계가 당을 장악한다는 시나리오다.

비대위원장은 전국위원회에서 선출하고, 대표 최고위원이 임명하도록 돼 있다. 하지만 대표 체제가 붕괴할 경우 김 대표는 친박이 아닌 비박계 비대위원장을 천거할 공산이 커지고 이렇게 되면 비대위원장 선출을 둘러싼 친박 대 비박의 갈등까지 겹쳐 계파 간 전면전으로 비화할 수 있다.

물론 갈등 때문에 비대위원장이 선출되지 못하면 자연스럽게 당 서열 2위인 유승민 원내대표가 전권을 쥐게 된다. 친박계도 정치생명을 걸어야 할 정도의 리스크를 져야 한다는 점에서 이 '플랜B'도 쉬운 선택은 아니다. 무엇보다 전당대회가 치러지더라도 친박계가 당권을 잡을지 예측하기 어렵다.

◇박 대통령, 직접 나서나

친박계가 행동에 나서는 여러 '유승민 축출' 시나리오가 여의치 않을 경우 박 대통령이 다시 한번 직접 나설 가능성도 있다.

수고스러운 방법이지만 '유승민 축출'을 성사시키겠다고 작정했다면 박 대통령이 의원 개개인을 회유하는 '직접 접촉'에 나설 수 있다. 핵심 친박과 범친박을 뺀 100명 안팎의 비박계를 상대로 당근과 채찍을 구사하며 설득 작업에 나서는 것이다.

친박계가 의총 소집요구서를 내 '유승민 탄핵'에 돌입하기 전에 박 대통령이 하루이틀 직접 움직인다면 판세가 요동칠 수 있다는 관측이 있다.

하지만 이 같은 회유 사실이 드러날 경우 정치적 역풍이 일 수도 있고, 만약 박 대통령이 직접 나서고도 유 원내대표를 끌어내지 못한다면 조기 레임덕이 한층 더 가까이 다가오게 된다.

일각에선 친박계의 '당무 거부' 카드와 비슷하게 박 대통령의 '칭병(稱病)' 카드를 입에 올리기도 한다. 칭병을 내세워 '이게 다 유 원내대표 때문'이라는 메시지를 내보이고, 여론을 돌린다는 것이다.

한편 청와대와 친박이 '유승민 사퇴'을 직접적인 목표로 삼지 않는다는 전제로 정치권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박 대통령의 선택지로 '포용 전략'을 꼽기도 한다.

박관용 전 국회의장은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박 대통령과 유 원내대표가) 서로 만나 자초지종을 설명하고 이런 불상사가 없도록 다짐하고 악수하고 웃는 낯으로 가면서 책임지는 모습을 보이면 해결된다"고 조언했다.

만남 뒤 유 원내대표가 사퇴하든 하지 않든 이 수의 최대 수혜자는 박 대통령이 된다.

사실 여부를 떠나 '불통'의 이미지가 강한 박 대통령이 여당 원내사령탑을 다시 끌어안는 것은, 자신에 대한 인식 전환과 지지율 제고, 나아가 여권 재결집과 계파 봉합으로 내년 총선 승리를 장담할 수 있는 최적의 카드라는 분석이다.

그러나 '배신은 용납하지 않는다'는 박 대통령의 정치 스타일상 실현 가능성이 그리 높지는 않다는 게 문제다.
dearpure@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